전체 글 1690

유창증조 유승비

유창증조 유승비 http://shtong.co.kr/bbs1/bbs/board.php?bo_table=xingshi&wr_id=88&sca=&sfl=wr_subject&stx=%B0%AD%B8%AA%C0%AF%BE%BE&sop=and 강릉유씨세보에 따르면 유전(劉荃)은 거창에 살았으며 큰아들 유견규(劉堅規)가 거타군(居陀君: 거창)에 봉해졌는데, 강릉유씨의 중시조(中始祖)격인 유창(劉敞)의 증조 유승비(劉承備)가 좌복야를 지내고 강릉의 우계(羽溪)로 은퇴했다고 한다. 그 후 유창이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강릉을 본관으로 삼게 됨으로써 강릉유씨와 거창유씨의 2본으로 갈라지게 되었다. 左僕射 995년(성종 14) 상서성이 설치될 때 처음 우복야와 함께 두어졌다. ..

강릉유씨 유전(劉荃)시조의 동래(東來)년대 300년 착오에 관한 고증 Q&A 해설

제 2차 고증문은 2018.7.27일 강릉유씨 대종회에 제출되었습니다. 。 강릉유씨 족보 유전(劉荃) 시조(始祖)의 동래(東來)년대 300년 착오에 관한 고증 Q&A 문답식 해설 劉 慶 相 강릉유씨 족보에 나타난 유전 도시조와 팔학사의 동도 시기는 서기 1082년 고려 문종 36년이며,중국 역사로는 宋나라 신종(神宗) 원풍(元豊) 5년에 고려 문종때에 팔학사의 일원으로 한반도에 온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여러가지 고증자료에 의하여 300년 5개의 60갑자 착오가 발견됨으로써 지난 2013년 12월 2일 이미 강릉유씨 대종회에 고증문을 제출한 바 있다. 2013년 12월 2일 강릉유씨 대종회에 이미 제출었던 제 1차 고증문 보기 http://blog.daum.net/rosy900/5666614 따라서 강릉..

第二次考证文 201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