语言/拼音历史

马英九/繁体字政策坚持

송화강 2014. 9. 7. 13:41

马英九/繁体字政策坚持

【서울=뉴시스】문예성 기자 = 대만 마잉주(馬英九) 총통이 중국 번자체(정자체)는 중화문화의 정수라며 날로 늘어나는 중국 관광객을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정자체를 간자체로 바꿔야 한다는 요구를 거부했다.

2일 중국 타이완왕(臺灣網)에 따르면 이날 타이베이에서 열린 제9회 '한자문화축제'에 참석한 마 총통은 "정자체 한자는 문화적 의미뿐만 아니라 예술적 가치도 있다며 정자체 쓰는 것을 적극적으로 격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약 300만 명의 중국 관광객이 대만을 방문하고, 향후 더 늘어날 추세인 가운데 정자체를 간자체로 변환 혹은 공동 병기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한 부정이다.

마 총통은 또 대만 당국은 더 많은 중국 관광객 유치 목적으로 간자체로 표기된 간판이나 홍보물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본토 관광객에게 정자체의 아름다움을 보여줄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그는 자주 쓰는 한자는 약 8000개인데 간자체 한자는 2200개로 번자체와 간자체가 다른 한자가 약 482자뿐이며 어떤 중국인이 정자체 한자를 알아보지 못한다고 말하는 것을 들어본 적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마 총통은 이런 입장은 정치적 입장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친중국 성향으로 평가되는 마 총통이 중국과의 차이를 두고, 대만 문화의 정통성과 우월성을 드러내려는 의미로 풀이됐다.

한편 정자체를 간단하게 한 간자체는 문맹률을 낮추는 등 목적으로 만들어졌고, 중화민국시대인 1935년 공식 참고문헌이 출간됐다가 그 다음해에 사용이 금지됐고, 1950년대 마오쩌둥(毛澤東)의 지시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고, 중국이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한자다.

일각에서는 중국과 대만이 모두 한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한자체가 달라 양안의 문화적 괴리가 형성됐고 통일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语言 > 拼音历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西儒耳目资  (0) 2014.09.07
利玛窦(Ricci)  (0) 2014.09.07
한어병음(Pinyin)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Wade-Giles System)의 대조  (0) 2014.09.07
台湾通用拼音等  (0) 2014.09.07
台湾拼音大战  (0) 201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