寧=영,령,녕.엿장수 맘대로인가?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hhw000001979&q=%E5%AF%A7%E6%97%A5
<
영세
<
영찰
상기 두개의 단어는 일반명사의 경우이며 이것은 두음법칙을 적용한다.
麗州에 가면 세종대왕 영릉이 있다.
신기한것은 영릉이 한글로 2기로 기록되어 있는데 신기하게도 영릉/영릉 그러나
하나는 세종대왕/효종왕릉 각기 다른데 한자로 구차스럽게 이제 이 한글 종씨를
구별해준다고 생각해서인지
영릉(英陵)/영릉(寧陵) 이렇게 해 놓았지만 사실 寧陵은 그 발음이 녕릉이다.
무슨 두음법칙이 이곳에 필요한것인가.
寧 이 글자의 원음이 "녕"이다
중국어에서 Ning로 발음되는 "닝"자 이므로 결코 영릉이 아니다.
英(Ying) 寧(Ning)과는 완전히 그 발음 계열이 다른것이다.
문화재관리공단에서는 모든 참배객의 고개를 갸웃둥하게 하는 이 어색한 표기를 바꾸어 준다면 좋을 텐데
"고유명사"의 표기에서 두음법칙 적용은 재고 할
필요가/즉 이름인데.........이름인데......
영릉(寧陵)
관련표현
안녕 [安寧]
정녕 [丁寧]
효령 대군 [孝寧大君]
휴녕 [休寧]
양녕 대군 [讓寧大君]
영돈령부사 [領敦寧府事]
판돈령부사 [判敦寧府事]
조녕 [粗寧]
집녕 [輯寧]
동지돈령부사 [同知敦寧府事]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강녕 [江寧]
충녕 대군 [忠寧大君]
동녕부 [東寧府]........보자! 동녕,,,,,,왜 돈자 뒤에는 령이되고 동자 뒤에는 녕이 되는가?
"敦寧:돈령"
"東寧:동녕" 이거 이래도 되는 것인가!
오히려 돈령보다는 같은 "ㄴ"계열 발음인 돈령=>돈녕이 맞은데.........참나
귀녕 [歸寧]
강녕전 [康寧殿]
무령왕 [武寧王]
무령왕릉 [武寧王陵]
돈령부 [敦寧府]
영돈령[領敦寧]
[역사 ] 조선 시대 , 돈령부 의 으뜸 벼슬 인 영사 를 이르던 말 . 정일품 (正 一 品 )으로 임금 의 장인 에게 맡겼다 .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
[역사 ] 조선 시대 , 돈령부 (@ 敦 寧 府 )의 정이품 벼슬 . 왕실 의 친척 일 을 맡아보았다 .
창녕 순수비[昌寧巡狩碑]
회령[會寧]
개령 민란[開寧民亂]
[역사 ] 조선 시대 , 18 62 (철종 13 )년 에 경상도 개령 에서 일어난 민란 . 개령 현감 김 후근 (金 厚 根 )의 탐욕 과 폭정 에 항거하여 김 규 진 (金 奎 鎭 ) 등이 이러 한 민폐 를 없애라는 격문 을 돌리며 백성 을 선동한 것 을 계기 로 수천 명이 봉기하였다 . 김 규 진 등 반란 주모자 다섯 명은 효수 (梟 首 )되었다 .
안녕질서[安寧秩序]
지돈령[知敦寧]
[역사 ] 조선 시대 , 돈령부 (@ 敦 寧 府 )의 정이품 벼슬 . 왕실 의 친척 일 을 맡아보았다 .
요령성[遼寧省]
보령[保寧]
승녕부[承寧府]
[역사 ] 조선 시대 , 상왕 (上 王 )의 옥책 (玉 冊 ), 금보 (金 寶 ) 등 의 일 을 맡아보게 하기 위하여 덕수궁 에 둔 임시 관아 . 140 0 (정종 2 )년 에 정조 에게 왕위 를 물려준 태조 를 위하여 설치하였으며 , 이후 190 7 (융희 1 )년 에 고종 을 위하여 다시 두었다가 4 년 뒤인 19 10 년에 없앴다 .
판돈령[判敦寧]
[역사 ] 조선 시대 , 돈령부 (@ 敦 寧 府 )의 종일품 벼슬 .
수복강녕[壽福康寧]
의령[宜寧]
창녕 술정리 동 삼층 석탑[昌寧述亭里東三層石塔]
[역사 ] 경상남도 창녕 군 창녕 읍 (昌 寧 邑 ) 술정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의 석탑 . 화강석 으로 만든 삼층 석탑 으로 , 높이 5 .75 미터이다 . 국보 제 34 호이다 .
돈령[敦寧]
[역사 ] 조선 시대 , 왕실 의 친척 . 왕 과 동성 (同 姓 )은 9 촌 이내 , 이성 (異 姓 )은 6 촌 이내 , 왕비 와 동성 은 8 촌 이내 , 이성 은 5 촌 이내 , 세자빈 과 동성 은 6 촌 이내 , 이성 은 3 촌 이내 에 드는 사람들을 말한다 .
청녕지곡[淸寧之曲]
[음악 ] 고려 시대 , 태묘 (太 廟 )의 초헌례 (初 獻 禮 )에 연주하던 제례악 의 하나 .
청녕장[淸寧章]
[음악 ] 고려 시대 , 태묘 (太 廟 )의 초헌례 (初 獻 禮 )에 연주하던 제례악 의 하나 .
소손녕[蕭遜寧]
[인명 ] 거란 의 장군 (?~?). 99 3 (성종 12 )년 거란 군의 총사령관 이 되어 80 만 대군 을 이끌고 고려 의 서북 국경 으로 침입했다 . 이에 고려 에서는 서희 (徐 熙 )가 자청하여 홀로 거란 군영 에 왔는데 이때 서희 의 기개 에 굴복하여 철군하였다 .
낭세령[郎世寧]
[인명 ] 이탈리아 의 화가 ․선교사 (16 88 ~17 66 ). 전도 를 위하여 중국 에 가서 중국 의 회화 와 건축 기법 을 배워 유럽 에 전하였다 . ‘카스틸리오네 2(Castiglione , Gi use ppe )’의 중국어 이름 이다 .
창녕[昌寧]
강녕[康寧]
동녕로총관부[東寧路摠管府]
[역사 ] 고려 시대 , 12 75 (충렬왕 1 )년 에 중국 원나라 가 동녕부 (東 寧 府 )를 승격시켜 고친 이름 . 12 90 (충렬왕 16 )년 에 없앴다 .
부령[富寧]
대령강[大寧江]
돈령원[敦寧院]
[역사 ] 대한 제국 기 , 왕의 친척 및 외척 에 대한 보첩 (譜 牒 )을 관장한 관청 . 190 0 (광무 4 )년 에 귀족원 (貴 族 院 )을 개칭한 것 이다 .
재령강[載寧江]
돈령사[敦寧司]
[역사 ] 대한 제국 기 , 왕실 과 가까운 친척 을 위한 사무 를 맡아보던 관청 . 190 5 (광무 9 )년 돈령원 (@ 敦 寧 院 )을 개칭한 것 이다 .
재령평야[載寧平野]
회령 탄광선[會寧炭鑛線]
창녕 석빙고[昌寧石氷庫]
[역사 ] 경상남도 창녕 군 창녕 읍 (昌 寧 邑 ) 송현 동 (松 峴 洞 )에 있는 조선 시대 의 얼음 창고 . 17 42 (영조 18 )년 에 화강석 으로 만들었다 .
영녕사[永寧寺]
[역사 ] 중국 남북조 시대 , 뤄양 (洛 陽 )에 있었던 큰 절 . 북위 (北 魏 )가 멸망할 때 소실되었다 .
만녕전[萬寧殿]
[역사 ] 조선 시대 , 강화도 에 설치하여 영조 (英 祖 )의 영정 (影 幀 )을 모셔 두었던 곳 .
재령 철산[載寧鐵山]
[광업 ] 황해도 재령 군 재령 읍 양산 리 (陽 山 里 )에 있는 철광산 (鐵 鑛 山 ). 갈철석 과 적철석 이 난 다 .
제녕[濟寧]
집녕[集寧]
지돈령원사[知敦寧院事]
[역사 ] 조선 시대 , 돈령원 (@ 敦 寧 院 )의 칙임 벼슬 .
회령 개시[會寧開市]
[역사 ] 조선 시대 , 16 38 (인조 16 )년 이후 회령 에서 중국 청나라 와의 사이 에 행해 지던 무역 .
시닝[西寧]
영녕전[永寧殿]
[역사 ] 조선 시대 , 종묘 (宗 廟 ) 안에 따로 만든 사당 .
고령가야[古寧伽倻]
[역사 ] 육 가야 (六 伽 倻 ) 가운데 지금 의 경상북도 상주군에 위치하였던 것 으로 여겨 지는 나라 .
함녕지곡[咸寧之曲]
[음악 ] <영산회상 >의 다섯 번째 곡인 삼현 (三 絃 ) 도드리 를 아취 있게 부르는 이름 .
동녕부 총관[東寧府摠管]
[역사 ] 고려 시대 , 동녕부 를 관할하던 중국 원나라 의 관직 .
함녕절[咸寧節]
[역사 ] 고려 숙종 , 예종 , 원종 때 , 임금 의 생일 을 기념하던 날 .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역사 ] ‘영돈령부사 (領@ 敦 寧 府 事 )’의 원래 말 .
필녕[弼寧]
무령지곡[武寧之曲]
[음악 ] ‘대취타 (大 吹 打 )’를 달리 이르는 말 .
무녕지곡[武寧之曲]
[음악 ] ‘대취타 (大 吹 打 )’를 달리 이르는 말 .
창녕절[昌寧節]
[역사 ] 고려 숙종 때 제정한 태자 의 탄생 기념일 .
돈녕[敦寧]
[역사 ] ‘돈령 (@ 敦 寧 )’의 원래
'语言 > 彦文资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우커(游客)는 여우커로 바로 잡아야 한다 (0) | 2015.01.31 |
---|---|
"ㅡ"字 복모음 (0) | 2014.04.16 |
转载:죽창에 찔려죽을 날이 다가옵니다.. 그러면.. (0) | 2014.02.06 |
낙양성 십리허에...허는 무슨뜻일까? (0) | 2013.10.20 |
구제<久製>의 뜻은 무엇인가.구제 청바지의 뜻은? (0) | 201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