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비파" 부활과 연주음을 들어보자
비파 [p'I-p'a, 琵琶]
중국의 발현악기(撥弦樂器).
목이 짧은 중국식 류트(Lute)로, 중국 악극의 관현악에서 중요한 구실을 하며 독주악기로도 쓰인다. 중국의 〈석명 釋名〉에 따르면 비파는 밖으로 타면 비(琵), 안으로 타면 파(琶)라고 한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는 서아시아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에는 2세기경에 소개되었다. 비파의 형태는 목제 앞판이 달린 배[梨] 모양의 얇은 몸체로 되어 있으며, 때때로 몸체에 초승달 모양의 소리구멍 2개가 나 있는 것도 있다.
목 부분에 볼록한 형태의 줄받이가 4개, 그리고 앞판에는 6~13개의 줄받이가 달려 있다. 앞판에 장치된 죄임쇠에서부터 등이 굽은 줄감개집의 양 옆에 붙어 있는 원뿔형의 조율용(用) 줄감개까지에는 견사로 만든 4줄의 현이 달려 있다.
넓적다리에 비파를 수직으로 세우고 술대로 타서 연주한다. 일반적인 음조(상대적인 음높이)는 c-f-g-c' 이다(가장 높은 음정은 가온음 도 주위가 됨). 중국 비파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한국의 비파에는 당비파와 향비파 2종류가 있다. 향비파는 삼국시대부터 연주되었는데, 중국문헌인 〈수서〉와 〈북서〉의 동이전에는 고구려 악기로써 오현(五絃)이 소개되어 있고, 고분벽화에도 비파 그림이 보인다.
오현이란 5~6세기경 고구려 음악에 사용되었던 오현비파를 말하는데 통일신라 때에는 오현비파를 향비파라고 불렀다. 통일신라의 삼현삼죽(三絃三竹) 가운데 삼현이란 거문고·향비파·가야금을 말한다. 비파는 중국을 거쳐 고구려에 전해졌고, 다시 일본으로 전해졌다.
당비파는 통일신라를 전후한 시기에 유입되어 사용된 듯하다. 지금은 연주되지 않는다.
일본의 비파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줄받이가 4개뿐인 일본 비파는 설화와 궁정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简介 琵琶(pí pá)被称为“民乐之王”、“弹拨乐器之王”、“弹拨乐器首座”, 拨弦类弦鸣乐器。南北朝时由印度经龟兹传入内地。木制,音箱呈半梨形,上装四弦,原先是用丝线,现在用钢丝、钢绳、尼龙制成。颈与面板上设用以确定音位的“相”和“品”。演奏时竖抱,左手按弦,右手五指弹奏。是可独奏、伴奏、重奏、合奏的重要民族乐器。现在琵琶在社会艺术考级中大多分为十级,全级学完大概用数年时间。
历史上的所谓琵琶,并不仅指具有梨形共鸣箱的曲项琵琶,而是多种弹拨乐器,其名“琵”、“琶”是根据演奏这些乐器的右手技法而来的。也就是说琵和琶原是两种弹奏手法的名称,琵是右手向前弹,琶是右手向后挑。所有说当时的“琵琶”形状类似,大小有别,像现在的柳琴,月琴,阮等,都可说是琵琶类乐器。琵琶是我国历史悠久的主要弹拨乐器。经历代演奏者的改进,至今形制已经趋于统一,成为六相二十四品的四弦琵琶。琵琶音域广,演奏技巧为民族器乐之首,表现力更是民乐中最为丰富的乐器。演奏时左手各指按弦于相应品位处,右手戴赛璐璐(或玳瑁)等材料制成的假指甲拨弦发音。
Pipa
![]() | |
Classification | |
---|---|
Related instruments | |
The pipa (Chinese: 琵琶; pinyin: pípá, [pʰǐpʰǎ]) is a four-stringed Chinese musical instrument, belonging to the plucked category of instruments. Sometimes called the Chinese lute, the instrument has a pear-shaped wooden body with a varying number of frets ranging from 12 to 26. Another Chinese four-string plucked lute is the liuqin, which looks like a smaller version of the pipa.
The pipa is one of the most popular Chinese instruments and has been played for almost two thousand years in China. Several related instruments in East and Southeast Asia are derived from the pipa; these include the Japanese biwa, the Vietnamese đàn tỳ bà, and the Korean bipa. The Korean instrument is the only one of the three that is no longer used; examples survive in museums, but attempts to revive that instrument failed.
일본의 비파(비와) 연주를 들어보자
琵琶
琵琶(びわ、ビバ、ピーパー)は、東アジアの有棹(リュート属)弦楽器の一つ。弓を使わず、もっぱら弦をはじいて音を出す撥弦楽器である。古代において四弦系(曲頚琵琶)と五弦系(直頚琵琶)があり、後者は伝承が廃絶し使われなくなったが、前者は後に中国及び日本においていくつもの種類が生じて発展し、多くは現代も演奏されている。朝鮮半島にも伝えられ、郷琵琶(五絃琵琶)と唐琵琶(四絃)で分けられて宮廷楽士の基本楽器になって李氏朝鮮の末期まで用いられた。(1930年代にも演奏)ヴェトナムにはおそらく明代に伝播した四弦十数柱のものが伝承され、琵琶と書いて「ティパ」と発音する。なお、広義には阮咸(げんかん)や月琴などのリュート属弦楽器も琵琶に含めることもある。
四弦系(曲頚)琵琶は、西アジアのウード、ヨーロッパのリュートと共通の起源を持ち、形もよく似ている。すなわち卵を縦に半分に割ったような形の共鳴胴に棹を付け、糸倉(ヘッド)がほぼ直角に後ろに曲がった形である。五弦系(直頚)琵琶はインド起源とされ、糸倉は曲がらず真っすぐに伸びている。正倉院に唯一の現物である「螺鈿紫檀五絃琵琶」(らでんしたんごげんのびわ、図参照)が保存されている。
일본의 샤미센(三味線) 연주음을 들으면서 비파와 비교해 보자
琴(きん、こと)とは、日本の伝統楽器。日本で「こと」と呼ばれる楽器は(1)琴、(2)箏、(3)和琴 (わごん)、 (4) 一絃琴 (須磨琴)、 (5) 二絃琴 (八雲琴) がある
일본의 고도(琴)연주 음을 들어보자
箏
쟁 쟁
검색결과
'音乐 > 音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기의 추억-옛날의 금잔디 동산에. (0) | 2012.12.30 |
---|---|
일본의 고또(琴),한국의 아쟁(牙筝)중국의 구정(古筝)의 비교 (0) | 2012.12.15 |
古筝 - 春江花月夜 <The melody of Guzheng> (0) | 2012.12.15 |
茉莉花演奏<Jasmine Flower (茉莉花)->二胡,古筝 (0) | 2012.12.14 |
Chinese musical Instruments (0) | 201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