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에 전해 내려오는 조씨 득성(曺氏得姓)과 시조(始祖) 태사공(太師公)에 관한 설화(說話)가 있다.
신라 때 한림학사(翰林學士) 이광옥(李光玉)의 딸 예향(禮香)이 태어나서부터 복질(腹疾)이 있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화왕산상(火王山上)의 용지(龍池)가 대단한 영험(靈驗)이 나타난다고 하니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기도하면 틀림없이 효과를 볼 것이오” 하므로, 그 말대로 길일(吉日)을 가려 용지로 올라가 목욕을 하고 기도를 하려고 하는데, 갑자기 운무(雲霧)가 일어 대낮이 캄캄 해지고 물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듯하였으나, 이때부터 어디로 가는지는 몰랐었다. 이윽고 운무(雲霧)가 걷히면서 저절로 못 가운데서 솟구쳐 나왔다. 이때부터 병이 낫고 태기(胎氣)가 있어 아들을 낳았는데, 꿈에 한 장부(丈夫)가 나타나서 말하기를, “그대는 이아이의 아버지를 아시오, 용왕(龍王)의 아들인 이름은 옥결(玉?)인데, 내가 바로 그 사람이오. 잘 양육하면 크게는 공후(公侯)가 될 것이고 적어도 경상(卿相)은 될 것이오, 그리고 자손이 만대(萬代)로 번창 할 것이오.” 하며 일러 주었다. 한림학사 이광옥이 그 사실을 왕에게 아뢰자. 왕이 그 아이의 겨드랑이 밑에 조자(曺字)의 무늬가 새겨져 있다고 하여 조계룡(曺繼龍)이라는 성명(姓名)을 내리고, 장성함에 이르러 진평왕(眞平王)의 사위가 되었다. 왜인(倭人)이 자주 내주(萊州)를 침범하므로 왕이 공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막게 하였다. 이에 공이 단기(單騎)로 진(陣)에 나아가 말고삐를 당기며 서서히 타이르니 왜인들이 나열하여 절을 하며, “공은 하늘에서 내려온 사람이다.” 하고, 곧 군사를 철수시켜 돌아갔다. 고 전한다. 창녕 조씨는 신라(新羅)와 고려(高麗)를 거치면서 현관(顯官)과 명신(名臣)이 많았고 조선조(朝鮮朝)에 들어와서는 절신(節臣)과 학자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신라 말기의 아간시중(阿干侍中) 조흠(曺欽)은 신라가 망하자 경주(慶州)의 토함산(吐涵山)에 운둔(隱遯)하여 한 편(篇)의시(詩)를 쓰기를, “천년을 누려온 왕업 하루 아침에 망하니, 늙고 외로운 신하의 눈물 수건을 적시네. 시험 삼아 묻노니 수양산 어디던가? 토함산 밝은 달을 친하면서 지내리[千年王業一朝塵 白首孤臣淚滿巾 借問首陽何處是 吐涵山月自相親].” 하면서 신라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그의 아들 조겸(曺謙)은 고려 태조(太祖)의 딸 덕공 공주(德恭公主)에게 장가들었고 벼슬은 태악서 승(太樂署丞)을 지냈다. 조겸의 아들 조서(曺瑞)는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을 지냈다.
그리고 조서의 아들 조연우(曺延祐)로부터 조자기(曺自奇)에 이르기까지 8대(代)에 걸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고, 그 뒤 6대로 소감(少監)을 배출하여 동방의 저성(著姓)으로 알려졌다.
조자기(曺自奇)와 조용기(曺用奇) 형제(兄弟)는 고려 현종(顯宗) 때에 거란(契丹)의 침입을 여러 차례 토벌한 공로가 있다.
조저(曺著)는 고려 고종(高宗) 때 과거(科擧)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 수성수의충량보국공신(輸誠守義忠亮輔國功臣) 벽상삼중대신(壁上三中大臣) 문하시중(門下侍中) 도첨의 정승(都僉議政丞)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에 이르렀고 연주부원군(聯珠府院君)에 봉해지고 시호(諡號)는 장양(莊襄)이다.
조광한(曺匡漢)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중시(重試)에 장원(壯元)하고 벼슬이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이르고 창성군(昌城君)에 봉(封)해졌다.
조익청(曺益淸)은 충숙왕(忠肅王)때 부터 공민왕(恭愍王)에 이르기까지 5대에 걸쳐 사직(社稷)을 보필한 공으로 좌정승(左政丞)에 오르고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純誠直節同德贊化功臣)에 녹훈(錄勳)되고 공민왕 묘정(恭愍王廟廷)에 배향(配享)되었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조계방(曺繼芳)은 공민왕 때 등과(登科)하여 벼슬이 직제학(直提學)에 이르렀고 홍건적(紅巾賊)의 난에 충성을 다해 호종(扈從)한 공으로 녹훈(錄勳)되었다. 조선 태조(朝鮮太祖)가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창녕(昌寧)에 은둔하여 두 편의 시를 쓰기를, “성긴 울타리 한편 뿐인 이곳은 내 집, 봄이 오면 온 산의 꽃구경할 수 있다오, 꾸민 담장과 기둥 어찌 오래 갈수 있으랴, 편안히 앉아 뜰에 가득히 비치는 달빛을 아끼리[一面疎籬是我家 春來不隔四山花 粉牆丹柱何能久 坐愛庭中月色多]” 또, 세상의 인심 부자를 따르고 가난한 사람을 따르지 않는데, 누가 초야에 묻힌 냉정하고 야윈 늙은이를 기억하랴? 천지의 이치만은 너무나 공평하니, 고요한 초가에도 새봄을 맞으리[世間從富不從貧 誰記江村冷瘦人 惟有乾坤無厚薄 寂寥茅屋亦靑春] “하면서, 자신의 회포를 읊었다.
그리고 조민수(曺敏修)는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격퇴한 명장(名將)으로 충근보리공신(忠勤輔理公臣)에 녹훈되고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1388년 이 성계(李成桂)와 같이 요동(遼東) 정벌에 나셨다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回軍)하였으나, 이성계 일파의 야심에 반기를 들었다가 창녕으로 귀양 가서 죽은 절의(節義)의 장군이다.
조비형(曺備衡)은 조선 태종조(太宗朝)에 무과(武科)에 올라 함길(咸吉) · 평안(平安) · 경상(慶尙) 3도(道)의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와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하였다. 시호(諡號)는 안무(安武)이다.
조상치(曺尙治)는 세종(世宗) ·문종(文宗) · 단종(端宗) 때 성삼문(成三問) · 박평년(朴彭年) 등과 함께 왕의 총애를 받았고 벼슬은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에 이르렀다. 세조(世祖)가 왕위(王位)를 찬탈(簒奪)하자 영천(永川)으로 물러나 노산조부제학포인조상치지묘(魯山朝副提學逋人曺尙治之墓)라는 묘비(墓碑)를 미리 써놓고 세조의 신하가 아님을 밝힌 뒤 외부와의 접촉을 끓고 절의를 지켰다. 자(字)는 자경(子景), 호(號)는 단고(丹皐) · 정재(靜齋). 정조(正祖) 때 충정(忠貞)이란 시호(諡號)가 내렸다.
조 석문(曺錫文1413―1477)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세조 때 이 시애(李施愛)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策錄)되고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자는 순보(順甫). 성종(成宗) 7년(1476)에 부원군(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시호(諡號)는 공간(恭簡)이다.
조위(曺偉1454―1503)는 성종조(成宗朝)의 대 문장가(大文章家)이다. 자형(자兄)인 점필재(?畢齋)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受學)하였는데, 점필재가「태허(太虛)야 말로 나의 스승이다.」할 정도로 학문이 대성하였다. 문과에 급제하여 성종의 극진한 총애를 받아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거쳐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에 이르렀다. 홍문관(弘文館)의 관료들과 두시언해(杜詩諺解)를 완성하고 그 서문(序文)을 섰다. 자는 태허(太虛), 호는 매계(梅溪). 저서로는 매계집(梅溪集)이 있고, 시호(諡號)는 문장(文莊)이다.
조숙기(曺淑沂1434―1509)는 문무(文武)를 겸비(兼備)한 전략가(戰略家)로 건주(建州) 정벌(征伐)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영안북도 병마절도사(永安北道兵馬節度使)와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였다. 자는 문위(文偉)이다.
조치우(曺致虞1459―1529)는 대구부사(大邱府使)와 사옹원정(司饔院正)을 역임하였는데, 효성이 지극하여 《소학(小學)》 1부(部)를 하사받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어 옥비(玉碑) 두 좌(坐)를 하사받았다. 자는 순경(舜卿), 호는 정우당(淨友堂)이다.
조계은(曺繼殷) · 조계상(曺繼商1466―1543) 형제는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워 조계은은 정국공신(靖國功臣) 창산군(昌山君)에 봉해지고 벼슬은 종부시정(宗簿寺正)에 이르렀다. 조계상은 정국공신 창녕군(昌寧君)에 봉해지고 벼슬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조세우(曺世虞1483―?)는 성균 생원(成均生員)이었을 적에 당시 권신(權臣)인 김안로(金安老) · 허항(許沆) · 채무택(蔡無擇) 등 정유삼흉(丁酉三兇)이 권력을 전횡하며 국가의 기강을 어지럽히는 사안을 감지하고,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들과 뜻을 모아 조목조목 거듭 상소(上疏)하여 마침내 그 일당이 복주(伏誅)되게 하였다. 자는 백원(伯元), 호는 석당(石塘)이다. 그의 재종손(再從孫)인 응남(應南).진남(鎭南) 형제(兄弟)와 종손(從孫)인 열(悅)은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창녕(昌寧) 대산진(臺山陣)에서 적(敵)을 크게 무찌른 뒤 형제가 순절, 그 충공(忠功)으로 정려(旌閭)되고 열(悅 )은 훈정(訓正)으로 제수(除授)되었다.
조광원(曺光遠1492―1573)은 문무(文武)의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명종(明宗) 10년(1555) 을묘왜변(乙卯倭變) 때에는 경상도 도순찰사(慶尙道都巡察使)로 활약하였으며, 벼슬은 우찬성(右贊成)에 이르렀다. 시호(諡號)는 충경(忠景)이다.
그리고 조식(曺植1501―1572)은 명종(明宗) · 선조조(宣祖朝)의 대학자(大學者). 지리산(智異山) 기슭에 은거(隱居)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연구하여 이 퇴계(李退溪)와 더불어 양대 산맥(兩大山脈)을 이룬 학계(學界)의 거성(巨星)이다. 특히 성명(性命)을 닦은 후의 실행(實行)을 주창하고 경의(敬義)를 신조로 반궁 체험(反躬體驗)과 지경 실행(持敬實行)을 학문의 목표로 삼았다. 그러므로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났을 때에 곽재우(郭再祐)를 위시하여 그의 많은 제자들이 의병(義兵)을 일으켰던 것도 그의 가르침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였다. 자는 건중(楗仲), 호는 남명(南冥). 광해군(光海君) 때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諡號)는 문정(文貞)이다. 저서로는 남명집(南冥集), 남명학기(南冥學記),유편(類編), 파한잡기(破閑雜記) 등이 있다.
조광익(曺光益1537―1578)은 선조(先祖) 때 중시문과(重試文科)에 장원(壯元)하였으며, 벼슬은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에 이르렀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자는 가회(可晦), 호는 취원당(聚遠堂). 저서로는 취원당집(聚遠堂集)이 있다.
조호익(曺好益1545―1609)은 무함(誣陷)으로 강동에 유배되었고, 배소에서 계속 학문에 정진, 후배를 양성하여 관서 지방의 학풍을 진작 시켰으며, 임진왜란 때는 그곳에서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다. 벼슬은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역임하였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자는 사우(士友)), 호는 지산(芝山). 시호(諡號)는 문간(文簡)이다. 저서로는 지산집(芝山集), 심경질의고오(心經質疑考誤), 가례고증(家禮考證), 주역석해(周易釋解), 역상추설(易象推說), 대학동자문답(大學童子問答) 등이 있다.
조탁(曺倬1552―1621)은 별시갑과에 장원(壯元)하시고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扈從)하였으며 만여 언(萬餘言)에 달하는 부흥책(復興策) 10조(條)를 올려 왕의 가납(嘉納)을 받았다. 벼슬은 경기 관찰사와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자는 대이(大而), 호는 이양당(二養堂). 저서로는 이양당집(二養堂集)이 있다. 조몽정(曺夢楨)의 아들 조탁(曺倬)과 손자 조명욱(曺明당)은 삼대(三代)에 걸처 영상(領相)에 추증(追贈)되었다.
조우인(曺友仁1561―1625)은 시 · 그림 · 글씨에 능하여 삼절(三絶)이라 일컬어졌으며, 글씨는 특히 진체(眞體)와 초서(草書)에 뛰어났다. 벼슬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거쳐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이르렀다. 자는 여익(汝益), 호는 매호(梅湖) · 이재(이齋). 저서로는 이재집(이齋集), 이재영언(이齋詠言) 등이 있다.
조한영(曺漢英1608―1670)은 인조(仁祖)15년(163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하였다. 척화파(斥和派)로서 김상헌(金尙憲) · 채이항(蔡以恒)과 청(淸)나라에 잡혀가 심한 고문 끝에 투옥(投獄)되었다가 의주(義州)로 이감(移監)되어 석방되었다. 하흥군(夏興君)에 봉해지고 벼슬은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에 이르렀으며 뒤에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 자는 수이(守而), 호는 회곡(晦谷). 시호(詩號)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는 회곡집(晦谷集)이 있다.
조석중(曺錫中1763―1816)은 창녕 조씨(昌寧曺氏) 성자(姓字)를 종전(從前)의 2획(劃)인 曹字로 써오던 것을 정조대왕(正祖大王)의 하명(下命)에 따라 1획인 曺字로 환원(還元)하여 사용할 것을 팔도(八道)의 제종(諸宗)에게 통문(通文)을 보냈다. 그리고 창녕 조씨 지선록(昌寧曺氏知先錄)을 편찬하였다. 벼슬은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에 이르렀다.
조봉진(曺鳳振1777―1738)은 문장과 글씨에 능하여 창녕 조씨 시조 재각(始祖齋閣)인 종덕재(種德齋)의 기문(記文)을 지었고 시조묘단비명(始祖墓壇碑銘)의 글씨를 썼다. 벼슬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조석여(曺錫輿1813―?)는 창녕 조씨 경진대보(昌寧曺氏庚辰大譜)의 서문을 지었으며 글씨에는 능하였다. 벼슬은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
조긍섭(曺兢燮1873―1933)은 경북 달성군(達城郡) 소재 비슬산(琵瑟山) 속에서 운거하여 강학(講學)한 도학자(道學者).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당시 유림(儒林)의 추앙(推仰)을 받았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끝없는 학구열(學究熱)을 가지고 외래사상(外來思想)까지 연구하여 이를 비판할 수 있었다. 전통유학자의 한 분이다.
한말(韓末)의 조성환(曺成煥)은 참위(參尉)로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이동녕(李東寧) · 이상설(李相卨) · 김구(金九) 등과 독립운동 단체인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였다. 그 뒤 만주(滿洲)에서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하여 군사부장(軍事部長)이 되었다. 그리고 상해(上海)에서 임시정부국무위원(臨時政府國務委員)으로 활동하여 광복군(光復軍) 설립의 기초를 닦았고, 임시정부의 최고 통수부 변공처장(最高統帥府變公處長)으로 활약하여 독립운동을 하였다.
조만식(曺晩植)은 인도(印度)의 간디가 주창(主唱)한 무저항주의(無抵抗主義)와 민족주의(民族主義) 그리고 안창호(安昌浩)의 국내 투쟁 이름에 크게 감동하여 자기 사상(自己思想)의 거울로 삼았으며, 일제치하여서도 국내에 머물면서 민족산업증진(民族産業增進)과 생활조건개선(生活條件改善) 그리고 배일독립정신함양(排日獨立精神函養)을 지표로 한 민족주의운동(民族主義運動)을 전개하였다. 광복 후 북한이 공산화된 뒤에도 동포(同胞)를 남겨두고 홀로 자유를 누릴 수 없다고 하면서 끝까지 북한에 남았던 민족사(民族史)에 남을 인물이다.
그리고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낸 죽산(竹山) 조봉암(曺奉岩)도 창녕조문(昌寧曺門)의 최근세 인물이다.
역대 주요 인물 |
|
▲신라조(新羅朝)
조계룡(曺繼龍) 태사(太師),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조수형(曺壽亨) 동각사인(東閣舍人) 조돈(曺敦) 복주밀금 도단련사(福州密金都團練使) 조흠(曺欽) 아간시중(阿干侍中)
▲고려조(高麗朝)
조겸(曺謙) 고려태조(高麗太祖)의 부마(駙馬) 대악서 승(大樂署丞) 조서(曺瑞)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조연우(曺延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한지(曺漢知)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지현(曺之賢)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사전(曺思詮)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정린(曺正麟)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중룡(曺仲龍)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의문(曺義文)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자기(曺自奇)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용기(曺用奇) 이부시랑평장사(吏部侍郞平章事) 조직(曺直) 판도첨의부사(判都僉議府事) 조사단(曺思旦) 비서소감(秘書少監) 조대재(曺大才) 소감(少監) 조우(曺瑀) 동정(同正) 조송무(曺松茂) 소감(少監) 조송군(曺松君) 소감(少監) 조송학(曺松鶴) 소감(少監) 조준(曺俊) 소감(少監) 조인량(曺仁亮) (소감(少監) 조인취(曺仁取) 소감(少監) 조인탁(曺仁鐸) (소감(少監) 조대장(曺大莊) 소감(少監) 조원계(曺元桂) 찬성사(贊成事) 조우희(曺遇禧)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시중(侍中) 조익순(曺益順) 삼중대광 상서(三重大匡尙書) 조광한(曺匡漢) 창성군(昌城君), 정당문학(政堂文學) 조추재(曺樞材) 상장군(上將軍) 조저(曺著)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조대운(曺大運) 문하시중(門下侍中)) 조윤통(曺允通) 贊成事 조정통(曺精通) 철야군(鐵冶君) 시중(侍中) 조의생(曺義生) 태학사(太學士) 조유도(曺由道) 직제학(直提學) 조응룡(曺應龍) 시중(侍中) 조희직(曺希直) 제학(提學) 조한룡(曺漢龍) 판서(判書) 조균정(曺均正) 중서랑(中書郞) 조언(曺彦) 밀직부사(密直副司) 조희정(曺希正) 소감(少監) 조흥(曺興) 태복경(太僕卿) 조원정(曺元正) 이부상서(吏部尙書) 조의충(曺義忠) 상호군(上護軍) 조민수(曺敏修)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문하시중(門下侍中) 조신충(曺信忠) 좌익병마사 판희천군사(左翼兵馬使判熙川郡事) 조경수(曺敬修) 좌찬성(左贊成) 조자일(曺子一) 대장군(大將軍)
▲조선조(朝鮮朝)
조서(曺庶) 문신(文臣). 자(字)는 여중(汝衆), 호(號)는 청간(淸簡). 문과 급제(文科及第). 예조 참판(禮曹參判). 조흡(曺恰) 무신. 호는 퇴사헌(退思軒), 서북도 순문사(西北道巡問使). 조문택(曺文澤)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시호(諡號)는 충익(忠翊) 조효문(曺孝門 ? ―1462) 문신. 자는 행원(行源). 문과 급제. 예조 참판( 禮曹參判). 시호(諡號)는 성도(成度). 조항(曺沆) 문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조상정(曺尙貞) 문신. 문경현감(聞慶縣監). 조상명(曺尙明) 문신. 덕원도호부사(德源都護府使). 조상겸(曺尙謙) 문신. 부사(府使). 조변융(曺變隆) 문신. 문과 급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簒奪)하자 영천(永川)으로 퇴거(退居)하였다. 조변안(曺變安1413― 1473) 문신. 자는 통지(通之). 문과 급제. 예조 참의(禮曹參議) 겸춘추관승문원사(兼春秋館承文院事). 저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동국정운(東國正韻), 직해동자습훈세평화(直解童子習訓世評話). 조수문(曺秀文1426―?) 학자. 자는 장보(章甫), 호는 죽림(竹林). 성균 생원(成均生員). 조변흥(曺變興) 문신 문과 급제. 예안현감(禮安縣監). 조숙기(曺淑沂1434―1509) 문신. 자는 문위(文偉). 문과 급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조석보(曺碩輔) 문신. 자는 사인(士仁). 문과 급제.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겸춘추관 · 승문원사(兼春秋館承文院事). 조윤손(曺潤孫). 문신 자는 억지(億之). 무과 급제 좌찬성(左贊成). 시호(諡號)는 장호(莊胡). 조말손(曺末孫) 문신(文臣). 자는 찬보(纘甫). 문과 급제. 영암 군수(靈巖郡守) 조신(曺伸1455―? ) 문신. 자는 숙분(叔奮). 호는 적암(適庵). 저서: 적암시고(適庵詩稿), 소문쇄록(謏聞瑣錄), 백년록(百年錄). 조언형(曺彦亨1469―1526) 문신. 자는 형지(亨之). 문과 급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조한보(曺漢輔) 학자. 호는 망기당(忘機堂). 고서(古書)를 널리 통독하여 학식(學識)이 풍부했으며, 선학(禪學)에도 조예(造詣)가 깊었다. 조효연(曺孝淵1486―1530) 문신. 자는 언박(彦博). 호는 위재(韋齋) 문과 급제 함안 군수(咸安郡守). 조명원(曺明遠) 문신. 내자시 부정(內資寺副正). 저서: 학포집(學浦集). 조윤신(曺允愼1511―1571) 학자. 자는 성중(誠仲), 호는 노재(魯齋).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조경중(曺景中1533―?) 문신. 자는 신민(信民), 호는 벽송재(碧松齋). 문과 급제. 기장 현감(機長縣監). 조숙(曺淑) 문신. 자는 선경(善卿), 호는 죽헌(竹軒). 문과 급제. 부사(府使). 조경온(曺景溫1548―1592)학자. 자는 여율(汝慄), 호는 임계(林溪).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창의(倡義). 조대중(曺大中1549―1590) 문신(文臣) 자는 화우(和宇). 호(號)는 정곡(鼎谷). 문과 급제. 동부승지(同副承旨). 조현(曺顯―1555) 문신. 자는 희경(希慶), 호(號)는 월헌(月軒). 문과 급제. 가리포 첨사(加里浦僉使).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 조탁연(曺卓然1555―1640) 자는 경성(景聖). 호는 낙와(樂窩). 참봉(參奉). 저서: 낙와유고(樂窩遺稿) 조기서(曺麒瑞1556―1591) 문신. 자는 인길(仁吉),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조홍립(曺弘立1558―1640) 문신 자는 극원(克遠). 호(號)는 수죽헌(數竹軒). 문과 급제. 여주목사(驪州牧使). 조사남(曺士男1560―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창의(倡義). 조이천(曺以天1560―1638) 학자. 자는 순초(順初), 호는 봉곡(鳳谷). 저서: 봉곡집(鳳谷集). 조신천(曺信天) 학자. 조흥효(曺興孝1570―?) 자는 경숙(敬叔). 저서: 취성집(醉醒集). 조명욱(曺明욱1572―1637) 문신. 자는 여우(汝偶), 호(號)는 율촌(栗村). 문과 급제. 이천 부사(利川府使). 좌의정(左議政)에 추증(追贈). 조신준(曺臣俊1573―?) 문신. 자는 공저(公著). 호는 영내(寧耐) · 무민옹(無悶翁). 문과 급제. 장연 부사(長淵府使). 조언호(曺彦浩1574―1597) 무신. 자는 의이(義而), 자호(自號)는 한송(寒松). 무과 급제. 선천군수.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 조전주(曺殿周1580―1635) 문신. 자는 만취(萬聚). 담양 부사(潭陽府使). 조면주(曺冕周) 학자. 자는 문백(文伯), 호는 송암(松菴). 저서: 송암집(松菴集). 조호문(曺虎文1580―1645) 자는 병여(炳如). 호는 극재(克齋).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저서: 극재집(克齋集). 조행립(曺行立1580―1693) 문신. 자는 백원(百源), 호는 태호(兌湖).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창의(倡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저서: 태호집(兌湖集). 조한빈(曺漢賓1583―1640) 문신. 호는 계음(溪陰). 저서: 계음집(溪陰集). 조정생(曺挺生1589―?) 문신. 자는 이령(以寧). 예조 좌랑(禮曹佐郞). 조문수(曺文秀1590―1647) 문신. 자는 자실(子實) 호(號)는 설정(雪汀). 문과 급제. 호조 판서(戶曹判書). 하령군(夏寧君)에 봉(封)해짐. 저서: 설정시집(雪汀詩集). 조정융(曺挺融1598―?) 문신. 자는 유첨(維瞻). 호(號)는 호옹(湖翁).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조엽(曺熀1600―1665) 학자. 자는 호는 구봉(九峯).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 조여충(曺汝忠1613―1678) 학자. 자는 여충(汝忠). 호는 경당(敬堂). 저서: 경당집(敬堂集). 조효창(曺孝昌1623―1680) 문신. 자는 행원(行源), 호(號)는 계양청은(桂陽淸隱), 문과 급제. 조세걸(曺世傑1635―?) 조선 중기의 화가(畵家). 조흔(曺訢) 자는 덕전(德全). 사마시(司馬試)에 장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 진주성(晋州城) 전투에서 장렬히 순국(殉國). 조준남(曺俊南) 문신. 자는 이정(而挺), 호는 둔암(遁巖). 천문학 교수(天文學敎授). 조정량(曺廷亮1652―1693) 무신. 자는 동보(同甫), 무과 급제.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 조우(曺遇1653―1712) 학자. 자는 시회(時會), 호는 구봉(九峰).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조하언(曺夏彦1657―1699) 문신. 자는 미백(美伯). 호는 우의당(愚意堂). 진사(進士).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 저서: 우의당유고(愚意堂遺稿). 조하중(曺夏重1659―?)자는 공래(公來), 호는 고산당(孤山堂). 저서: 고산당유고(孤山堂遺稿). 조하기(曺夏奇1660―1738) 자는 위숙(偉叔), 호는 경안와(敬顔窩).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조유(曺逾) 학자. 자는 자고(子高), 호는 우졸당(愚拙堂). 학행(學行)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 조선장(曺善長1661―1726) 학자, 자는 인백(仁伯), 호는 병애(屛厓). 저서: 병애집(屛厓集), 경례차록(經禮箚錄). 조세호(曺世虎) 문신, 자는 병여(炳汝), 호는 체화당(棣華堂) · 봉촌(鳳村).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조석기(曺錫基1667―1724) 학자. 자는 덕보(德甫), 호는 모계(募溪). 저서: 모계집(募溪集). 조세룡(曺世龍) 문신. 자는 태여(泰汝), 호는 인재(인齋). 학행(學行)으로 지평(持平)에 추증. 저서: 인재집(인齋集). 조세봉(曺世鳳) 문신. 자는 명보(鳴甫), 호는 삼석재(三惜齋). 형제간의 우애(友愛)가 돈독하였다. 저서: 삼석재집(三惜齋集). 조하위(曺夏瑋1678―1752) 학자. 자는 군옥(君玉), 호는 소암(笑庵). 진사(進士). 저서: 소암집(笑庵集). 조세붕(曺世鵬) 문신. 자는 운거(雲擧), 호는 경지재(敬知齋).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참봉(參奉) 역임. 저서: 경지재집(敬止齋集). 조익한(曺翼漢1680―1741)학자. 자는 자상(子相). 호는 묵암(묵庵). 생원(生員). 저서: 묵암집(묵庵集). 조하망(曺夏望1682―1747)문신. 강능부사(江陵府使). 자는 아중(雅仲). 호(號)는 서주(西州). 문과 급제. 저서: 서주집(西州集). 조하종(曺夏鍾1685―1741) 자는 명중(鳴仲), 호는 치수(恥叟). 금산 군수(金山郡守). 저서: 치수유고(恥叟遺稿). 조명교(曺命敎1687―1753) 문신. 자는 이보(彛甫), 호(號)는 담운(澹雲). 문과 급제. 이조 참판(吏曹參判). 저서: 담운유고(澹雲遺稿). 조광국(曺光國1691―1758) 학자. 자는 사일(士一), 호는 감로재(感露齋). 선공감 가감역(繕工監假監役). 저서: 감로재집(感露齋集). 조용한(曺龍翰1694―1741) 학자. 자는 운로(雲路), 호는 자계(慈溪). 저서: 자계집(慈溪集). 조선적(曺善迪 1697―1756) 학자. 자는 중길(仲吉), 호(號)는 치재(치齋). 저서: 치재집(치齋集). 조붕구(曺鵬九1700―1735) 학자, 자는 능만(能萬), 호는 옥여재(玉余齋). 저서: 경서질의(經書質疑), 문학요통(問學要通). 홍범질의(洪範質疑), 서의삼해(書義三解), 역의집설(易義集說).역학지요(易學指要). 역언질의(易諺質疑). 조명채(曺命采1700―1764) 문신. 이조참판(吏曹參判). 자는 주경(疇卿). 호는 난곡(蘭谷). 문과 급제. 대사헌(大司憲). 저서: 난곡시집(蘭谷詩集). 조윤성(曺允成1703―1805) 무신. 자는 여현(汝賢).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명집(曺命集1705―1771) 자는 사성(士成), 호는 매산(梅山). 교위(校尉). 저서: 매산유고(梅山遺稿). 조용석(曺龍錫1705―1774) 학자. 자는 천응(天應), 호는 북계(北溪). 저서: 북계집(北溪集). 조윤적(曺允迪1707― 1772) 문신. 자는 혜중(惠仲). 산청 현감(山淸縣監). 조서구(曺舒九1710―1772) 학자. 초명(初名)은 세린(世麟). 자는 이견(彛見), 호는 손재(巽齋). 저서: 손재유집(巽齋遺集), 구중록(求中錄). 조림(曺霖1711―1790) 학자. 자는 상보(商輔). 호(號)는 신재(新齋). 세자 시강원 자의(世子侍講院諮議) 저서: 신재집(新齋集), 의례집성(疑禮集成). 조채신(曺采臣1717―1797) 학자. 자는 양보(亮甫). 호는 일암(一庵) · 부지옹(不知翁). 저서: 일암집(一庵集). 조덕신(曺德臣1722―1792) 학자. 자는 직부(直夫). 호는 돈암(遯菴). 저서: 돈암집(遯菴集). 조윤형(曺允亨1725―1799) 문신. 자는 치행(穉行). 호(號)는 송하옹(松下翁).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조윤필(曺允弼1730―1780) 문신. 자는 자량(子良). 현풍 현감(玄風縣監). 조학신(曺學臣1732―1800) 무신. 자는 심부(心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문식(曺文栻1734―1789) 문신. 자는 경지(敬之), 호는 파간(巴磵).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 저서: 파간집(巴磵集) 조원진(曺遠振) 문신. 자는 구여(久汝). 문과 급제. 대사간(大司諫). 조회진(曺晦振1738―1799) 문신. 자는 중엽(仲燁).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희유(曺喜有1742―1814) 문신. 자는 광보(光甫), 호(號)는 경은(耕隱). 문과 급제. 서산 군수(瑞山郡守). 저서: 경은집(耕隱集). 조하룡(曺夏龍1747-1819)문신. 자는 극보(極甫),호(號) 용약제(龍若齊)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저서:용약제(龍若齊)문집(文集).시집(詩集) 조윤대(曺允大1748―1813) 문신. 자는 사원(士元). 호(號)는 동포(東浦). 문과 급제 . 도승지(都承旨)로 임명되어 조성 획수(曺姓劃數)에 대한 정조(正祖)의 감일획의 명을 받아 반사(頒賜)하는 역할을 하였음. 판돈녕부사(判敦寧府使). 조윤수(曺允遂1753―1818) 문신. 자는 계취(季就). 문과 급제. 참판(參判). 조광진(曺匡振1772―1840) 명필(名筆). 자는 정보(正甫). 호(號)는 눌인(訥人). 저서: 눌인서첩(訥人書帖). 조석정(曺錫正1774―1821) 문신. 자는 계중(季中). 문과 급제.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조용진(曺龍振1786―1826) 문신. 자는 운경(雲卿). 문과 급제. 시강원 사서(侍講院司書). 조극승(曺克承1803―1877) 문신. 자는 성도(聖度). 호는 귀애(龜厓). 문과 급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저서: 귀애집(龜厓集). 조석우(曺錫雨1810―?) 문신. 자는 치용(穉用). 호(號)는 연암(烟庵). 문과 급제. 이조 참판. 시호(諡號)는 문정(文靖). 조석원(曺錫元1817―?) 문신. 자는 현로(玄老). 호(號)는 소운(紹雲). 문과 급제. 도승지(都承旨). 조원규(曺元奎) 학자. 자는 선오(善五), 호는 칠송(七松). 문학(文學) · 명필(名筆)로 유명. 조진구(曺鎭九) 학자. 자는 희서(羲瑞), 호는 봉릉(鳳陵). 사마시(司馬試) 합격. 참봉(參奉). 조진억(曺鎭億) 문신. 자는 봉서(鳳瑞), 호는 난포(蘭圃). 사마시(司馬試) 합격. 온양 군수(溫陽郡守)를 거쳐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조진만(曺鎭萬) 문신. 자는 창서(昌瑞), 호는 봉고(鳳皐). 사마시(司馬試) 합격. 참봉(參奉)을 거쳐 규장각 제학(奎章閣提學). 조진백(曺鎭百) 문신. 자는 공서(公瑞), 호는 하석(霞石). 사마시(司馬試) 합격. 공조(工曹) · 형조(刑曹) · 병조(兵曹)의 정랑(正郞). 조문환(曺文煥1828―1906) 학자. 자는 주백, 호는 죽남(竹南). 저서: 죽남집(竹南集). 조규승(曺逵承1827―1908) 문신(文臣) 자는. 경휘(景輝). 호는 성재(省齋). 문과 급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저서: 성재유고(省齋遺稿). 조인승(曺寅承1842―1896) 문신. 자는 경빈(景賓). 호(號)는 동곡(東谷). 문과 급제. 춘천부관찰사. 시호(諡號)는 충헌(忠憲). 조현수(曺賢洙1842―1913) 학자. 자는 치일(治一), 호는 기산(奇山). 저서: 기산집(奇山集) 조시영(曺始永1843―1912) 문신. 자는 치극(致克). 호(號)는 후계(後溪). 문과 급제. 저서: 후계집(後溪集). 조병소(曺秉韶1846―1921) 학자. 자는 학부(學夫), 호는 창래(蒼來). 사마시(司馬試) 합격. 저서: 창래집(蒼來集). 조병문(曺秉文1851―1916) 학자. 자는 경백(景伯), 호는 퇴암(退庵). 참봉(參奉). 저서: 퇴암집(退庵集). 조세환(曺世煥1854―1941) 학자. 자는 국견(國見), 호는 시남(市南) · 청의자(靑衣子). 사마시(司馬試) 합격. 저서: 시남집(市南集). 조석환(曺奭煥1874―1923) 학자. 자는 명욱(明욱), 호는 금고(錦皐). 진사(進士). 조경환(曺京煥)1876―1909) 일명(一名) 준환(準煥). 호는 대천(大川). 한말의 의병장(義兵將).
[등과록(登科錄)]
▲고려조(高麗朝)
문과(文科) 진사(進士) 조서(曺庶) 공민왕(恭愍王) 20년(1371), 조상주(曺尙周) 공양왕(恭讓王) 1년(1389) 학생(學生) 조유인(曺由仁) 공양왕(恭讓王) 1년(1389)
▲조선조(朝鮮朝)
문과(文科) 조유인(曺由仁) 태조(太祖) 5년(1396) 식년시(式年試), 조중림(曺仲林) 태조(太祖) 5년(1396) 식년시(式年試), 조회(曺繪) 정종(定宗) 1년(1399) 식년시(式年試), 조상(曺尙) 태종(太宗) 1년(1402) 식년시(式年試), 조숭덕(曺崇德) 태종(太宗) 5년(1404)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상치(曺尙治) 세종(世宗) 1년(1419) 식년시(式年試), 조윤성(曺允誠) 세종(世宗) 1년(1419)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휘(曺彙) 세종(世宗) 9년(1427) 친시(親試) 문소전직(文昭殿直) 조석문(曺錫文) 세종(世宗) 16년(1434) 알성시(謁聖試) 생원(生員) 조변안(曺變安) 세종(世宗) 17년(1435) 식년시(式年試), 조변흥(曺變興) 세종(世宗) 17년(1435)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효문(曺孝門) 세종(世宗) 26년(1444)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변융(曺變隆) 세종(世宗) 26년(1444) 식년시(式年試) 승문정자(承文正字) 조변융(曺變隆) 세종(世宗) 26년(1444) 중시(重試) 진사(進士) 조호지(曺好智) 단종(端宗) 2년(1454) 증광시(增廣試) 부위(副尉) 조극치(曺克治) 단종(端宗) 2년(1454)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연하(曺兗河) 세조(世祖) 5년(1459) 식년시(式年試), 조상겸(曺尙謙) 세조(世祖) 6년(1460) 별시(別試) 선전(宣傳) 조간(曺幹) 세조(世祖) 10년(1464) 온양별시(溫陽別試) 선교(宣敎) 조석보(曺碩輔) 예종(睿宗) 1년(1469) 식년시(式年試), 조말손(曺末孫) 성종(成宗) 3년(1472)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위(曺偉) 성종(成宗) 5년(1474) 식년식(式年試) 생원(生員) 조숙기(曺淑沂) 성종(成宗) 5년(1474)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호(曺浩) 성종(成宗) 20년(1489)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세당(曺世唐) 成宗) 23년(1492)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치우(曺致虞) 성종(成宗) 25년(1494) 별시(別試) 진사(進士) 조계상(曺繼商) 연산(燕山) 1년(1495) 증광시(增廣試) 성박(成博) 조세당(曺世唐) 연산(燕山) 3년(1497) 중시(重試) 진사(進士) 조계형(曺繼衡) 연산(燕山) 7년(1501)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언형(曺彦亨) 연산(燕山) 7년(1501) 식년식(式年試) 생원(生員) 조상현(曺尙賢) 중종(中宗) 2년(1507)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윤문(曺允文) 중종(中宗) 5년(1510)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한필(曺漢弼) 중종(中宗 5년(1510) 식년시(式年試) 군수(郡守) 조계은(曺繼殷) 중종(中宗) 6년(1511) 별시(別試), 조언경(曺彦卿) 중종(中宗) 10년(1515) 별시(別試), 조희(曺禧) 중종(中宗) 12년(1517)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효연(曺孝淵) 중종(中宗) 14년(1519) 식년시(式年試), 조상(曺祥) 중종(中宗) 17년(1522) 별시(別試) 부솔(副率) 조광원(曺光遠) 중종(中宗) 23년(1528)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숙(曺淑) 중종(中宗) 35년(1540)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언박(曺彦博) 중종(中宗) 35년(1540)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천령(曺千齡) 명종(明宗) 15년(1560)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광익(曺光益) 명종(明宗) 19년(1564) 별시(別試), 조경중(曺景中) 선조(宣祖) 즉위년(1567) 식년시(式年試) 감찰(監察) 조광익(曺光益) 선조(宣祖) 즉위년(1567) 중시(重試) 진사(進士) 조대중(曺大中) (선조(宣祖) 15년(1582)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홍립(曺弘立) 선조(宣祖) 21년(1588) 식년시(式年試) 부솔(副率) 조탁(曺倬) 선조(宣祖) 32년(1599) 별시(別試) 참봉(參奉) 조우인(曺友仁) 선조(宣祖) 38년(1605) 정시(庭試) 별제(別提) 조명욱(曺明욱) 선조(宣祖) 38년(1605)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신준(曺臣俊) 선조(宣祖) 39년(1606) 증광시(增廣試), 조수홍(曺守弘) 선조(宣祖) 38년(1606) 식년시(式年試), 조응서(曺應瑞) 광해(光海) 1년(1609)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정립(曺挺立) 광해(光海) 1년(1609) 증광시(增廣試) 유학(幼學) 조길(曺佶) 광해(光海) 2년(1610) 별시(別試) 유학(幼學) 조정생(曺挺生) 광해(光海) 5년(1613) 증광시(增廣試) 참봉(參奉) 조삼성(曺三省) 광해(光海) 7년(1615) 식년시(式年試) 사평(司評) 조척(曺倜) 인조(仁祖) 1년(1623) 개시(改試) 현감(縣監) 조문수(曺文秀) 인조(仁祖) 2년(1624)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희인(曺希仁) 인조(仁祖) 5년(1627) 식년시(式年試), 조수(曺璲) 인조(仁祖) 6년(1628) 별시(別試) 유학(幼學) 조시일(曺時逸) 인조(仁祖) 7년(1629) 정시(庭試) 종사(從仕) 조정융(曺挺融) 인조(仁祖) 9년(1631)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시량(曺時亮) 인조(仁祖) 13년(1635)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한영(曺漢英) 인조(仁祖) 15년(1637) 정시(庭試) 유학(幼學) 조정(曺정) 인조(仁祖) 26년(1648) 식년시(式年試) 장사(將仕) 조치중(曺致中) 효종(孝宗) 2년(165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정우(曺挺宇) 효종(孝宗) 2년(1651)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헌경(曺憲卿) 현종(顯宗) 1년(1660) 식년시(式年試), 조하경(曺夏卿) 현종(顯宗) 14년(1673) 식년시(式年試) 유학(儒學) 조정선(曺廷善) 현종顯宗) 14년(1673)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효창(曺孝昌) 숙종(肅宗) 4년(1678) 정시(庭試) 충의(忠義) 조징한(曺徵漢) 숙종(肅宗) 7년(168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무훈(曺武勛) 숙종(肅宗) 8년(1682) 춘당대(春塘台) 참봉(參奉) 조석(曺錫) 숙종(肅宗) 8년(1682)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복경(曺復卿) 숙종(肅宗) 13년(1687) 식년시(式年試), 조하영(曺夏榮) 숙종(肅宗) 16년(1690)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선휘(曺善徽) 숙종(肅宗) 19년(1693) 식년시(式年試), 조명교(曺命敎) 숙종(肅宗) 45년(1719) 증광시(增廣試), 조윤주(曺潤周) 영조(英祖) 5년(1729) 식년시(式年試) 통덕(通德) 조명경(曺命敬) 영조(英祖) 6년(1730) 정시(庭試) 통덕(通德) 조윤제(曺允濟) 영조(英祖) 8년(1732) 정시(庭試) 군수(郡守) 조하망(曺夏望) 영조(英祖) 12년(1736) 정시(庭試) 통덕(通德) 조명채(曺命采) 영조(英祖) 12년(1736) 정시(庭試), 조명윤(曺命胤) 영조(英祖) 17년(1741) 식년시(式年試), 조경수(曺敬脩) 영조(英祖) 20년(1744) 식년시(式年試), 조명업(曺命業) 영조(英祖) 41년(1765) 식년시(式年試), 조희유(曺喜有) 영조(英祖) 47년(1771) 식년시(式年試), 조원진(曺遠振) 영조(英祖) 48년(1772) 정시(庭試), 조문권(曺文權) 영조(英祖) 50년(1774)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윤대(曺允大) 정조(正祖) 3년(1779) 광주정시(廣州庭試), 조형수(曺亨壽) 정조(正祖) 4년(1780)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윤수(曺允遂) 정조(正祖) 9년(1785) 알성시(謁聖試) 진사(進士) 조석중(曺錫中) 정조(正祖) 18년(1794)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석정(曺錫正) 정조(正祖) 22년(1798) 정시(庭試), 조석곤(曺錫鯤) 순조(純祖) 1년(1801)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봉진(曺鳳振) 순조(純祖) 5년(1805) 증광시(增廣試) 부사과(副司果) 조석정(曺錫正) 순조(純祖) 16년(1816) 중시(重試), 조상진(曺相振) 순조(純祖) 22년() 식년시(式年試) 부사과(副司果) 조용진(曺龍振) 순조(純祖) 23년(1823) 정시(庭試), 조운승(曺雲承) 순조(純祖) 29년(1829) 정시(庭試), 조극성(曺克承) 순조(純祖) 31년(183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석형(曺錫亨) 순조(純祖) 34년(1834) 식년시(式年試), 조석우(曺錫雨) 헌종(憲宗) 1년(1836) 별시(別試), 조형승(曺瑩承) 헌종(憲宗) 9년(1843) 식년시(式年試) 참봉(參奉) 조석여(曺錫輿) 헌종(憲宗) 14년(1848)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조석원(曺錫元) 철종(哲宗) 1년(1850) 증광시(增廣試), 조석만(曺錫萬) 철종(哲宗) 2년(1851) 정시(庭試), 조경승(曺璟承) 철종(哲宗) 3년(1852)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은승(曺殷承) 철종(哲宗) 7년(1856) 별시(別試), 조승탁(曺承鐸) 철종(哲宗) 13년(1862) 정시(庭試) 유학(幼學) 조규승(曺逵承) 고종(高宗) 4년(1867)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인승(曺寅承) 고종(高宗) 9년(1872)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병선(曺秉先) 고종(高宗 ) 14년(1877)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시영(曺始永) 고종(高宗) 19년(1882)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만승(曺萬承) 고종(高宗) 22년(1885) 증광시(增廣試) 유학(幼學) 조기영(曺基榮) 고종(高宗) 25년(1888)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병용(曺秉庸) 고종(高宗) 27년(1890) 별시(別試) 좌랑(佐郞) 조강환(曺康煥) 고종(高宗) 28년(189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대환(曺大煥) 고종(高宗) 29년(1892) 별시(別試)
무과(武科) 조구서(曺九敍) 영흥판관(永興判官)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창성군(昌城君)에 추증. 조윤손(曺潤孫) 좌찬성(左贊成) 조현(曺顯) 가리포 첨절제사(加里浦僉節制使) 조응량(曺應亮) 임진왜란(壬辰倭亂)에 무공(武功)을 세우고 순국(殉國). 선무(宣武) · 진무(振武)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策錄) 조정량(曺廷亮)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 조윤성(曺允成)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조학신(曺學臣) 별병사(別兵使) 조당(曺讜) 첨정(僉正) 조계주(曺繼周) 현감(縣監) 조정화(曺挺華) 선전(宣傳) 조정리(曺挺履) 선전(宣傳) 조병식(曺秉植) 군수(郡守) 조학신(曺學臣)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희승((曺喜承) 도정(都正) 조병진(曺秉鎭) 호군(護軍)
[벌열(閥閱)]
●공신(功臣) : 조익청(曺益淸) 충숙왕 순성직절동덕찬화(純誠直節同德贊化) 일등공신(一等功臣) 조민수(曺敏修) 공민왕 10년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물리치고 2등공신(二等功臣)에 충근 보리공신(忠勤輔理功臣)에 녹훈(錄勳) 창왕(昌王)을 옹립(擁立)한 공으로 충근 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宣威同德安社功臣) 조이(曺怡) 태종왕 좌익공신(佐翼功臣) 조항(曺沆) 세종왕 순충적덕보조공신(純忠積德補助功臣) 조변안(曺變安) 세종왕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녹훈(錄勳) 훈민정음(訓民正音) 제정에 참여(參與). 조효문(曺孝門) (세조조.세조즉위3등공신(世祖卽位三等功臣)) 조석문(曺錫文) 세조조 . 세조즉위 3등공신(世祖卽位三等功臣) 이시애난토벌1등공신(李施愛亂討伐一等功臣). 예종조 . 정난익대3등공신(定難翊戴三等功臣). 성종조 . 성종즉위1등공신(成宗卽位一等功臣) 조계상(曺繼商) 중종조 . 중종반정2등공신(中宗反正 二等功臣) 조계은(曺繼殷) 중종조 . 중종반정4등공신(中宗反正四等功臣) 조계형(曺繼衡) 연산조 .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錄勳) 조응량(曺應亮) 선조왕 임란(壬亂) 때의 무공(武功)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녹(錄). 조탁(曺倬) 선조왕 임란(壬亂) 때 정난선무 3등공신(靖亂宣武三等功臣)에 선무청난원 종1등공신(宣務淸難原從一等功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