语言/中国话资料

Phonetic alphabet

송화강 2010. 10. 7. 10:16

위키낱말사전:국제 음성 기호

위키낱말사전, 말과 글의 누리
Jump to: 둘러보기, 찾기
Phonological anatomy.png

한국어 | 영어 | 프랑스어 | 독일어 | 이탈리아어 | 스웨덴어 | 그리스어 | 러시아어 | 히브리어 | 일본어 | 에스파냐어 | 에스페란토

(+/-)
pix.gif
pix.gif
pix.gif
pix.gif
pix.gif
 

한글의 IPA 표기

다음은 한글의 IPA(국제 음성 기호) 표기입니다. 이는 한국 및 영어권에서 출판된 여러 한국어 교재를 두루 참고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에 따라서는 여기에 쓰인 한글 자모의 IPA 표기와 다른 몇몇 표기를 쓰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차이는 어떤 한 IPA 표기가 바르다거나 또는 그릇된 것이라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참여하는 여러분께서는 표기의 통일성을 위하여 여기에 적힌 IPA 표기를 따라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 한국어 낱낱의 글자는 곧 음절을 나타내므로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는 IPA 표기에서 이를 얼른 알아 볼 수 있도록 매 음절 다음에 점을 붙여 씁니다.
  • 국립국어연구원 및 다른 위키백과에서 더러 찾아 볼 수 있는 한글과 IPA의 비교 표기는 여기에서는 쓰지 않습니다.
  • 아래 보기에 든 낱말 가운데 녹색으로 표시된 낱말의 발음은 #자모의 기본 IPA 표기#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세요.

자모의 기본 IPA 표기

닿소리(자음)

입술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bieup.png 첫소리 [ p ] [paŋ], 보다 [po.da]
가운데 [ b ] 아버지 [a.bə.ɟi], 넘보다 [nəːm.bo.da]
받침 [ p ][1] [pap], 굽다 [kuːp.t’a]
Korean Alphabet pieup.png 첫소리 [ pʰ ] [pʰa], 펴다 [pʰje.da]
가운데 [ pʰ ] 슬프다 [sɨl.pʰɨ.da], 태풍 [tʰɛ.pʰuŋ]
받침 [ p ][1] [ip], 숲속 [sup.s’ok]
Korean Alphabet ssangbieup.png 첫소리 [ p’ ] 빵집 [p’aŋ.c’ip], 빨리 [p’al.li], 뽀뽀 [p’o.p’o]
가운데 [ p’ ] 기쁘다 [ki.p’ɨ.da], 사뿐 [sa.p’un]
받침 - -
이와 잇몸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digeut.png 첫소리 [ t ] [toŋ], 더위 [tə.wi]
가운데 [ d ] 하다 [ha.da], 구두 [ku.du]
받침 [ t ][1] 받침 [pa(t).cʰim], 숟가락 [su(t).k’a.rak]
Korean Alphabet tieut.png 첫소리 [ tʰ ] 타다 [tʰa.da], 터지다 [tʰəː.ɟi.da]
가운데 [ tʰ ] 농토 [noŋ.tʰo], 배탈 [pɛ.tʰal]
받침 [ t ][1] [k’ɨt], 같다 [ka(t).t’a]
Korean Alphabet ssangdigeut.png 첫소리 [ t’ ] 딸기 [t’aːl.gi], 뚜쟁이 [t’u.ɟɛŋ.i]
가운데 [ t’ ] 가래떡 [ka.rɛ.t’ək], 똑똑하다 [t’ok.t’o.kʰa.da]
받침 - -
Korean Alphabet siot.png 첫소리 [s / ʃ ] 소리 [so.ri], 사람 [saː.ram], 신라 [ʃil.la]
가운데 [ s ] 모습 [mo.sɨp], 자식 [ca.ʃik]
받침 [ t / (t) ][1] [kat], 낫다 [naːt.t’a], 웃옷 [u.dot]
Korean Alphabet ssangsiot.png 첫소리 [s’ / ʃ’ ] 싸구려 [s’a.gu.rjə, s’a.gu.rjə], 씀씀이 [s’ɨm.s’ɨ.mi], 씨앗 [ʃ’i.at]
가운데 [ s’ ] 애쓰다 [ɛː.s’ɨ.da], 불쑥 [pul.s’uk].
받침 [ t ][1] 습니다 [at.s’ɨm.ni.da], [ət.t’a]
목 천장 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giyeok.png 첫소리 [ k ] 가수 [ka.su], 검정 [kəm.ɟəŋ]
가운데 [ g ] 고기 [ko.gi], 아가씨 [a.ga.ʃ’i]
받침 [ k ][1] [pɛk], 수직선 [su.ɟik.s’ən]
Korean Alphabet kieuk.png 첫소리 [ kʰ ] [kʰan], 큼직하다 [kʰɨm.ɟik.kʰa.da]
가운데 [ kʰ ] 시큼하다 [ʃi.kʰɨm.ha.da], [mul.kʰəp]
받침 [ k ] 부엌 [pu.ək]
Korean Alphabet ssanggiyeok.png 첫소리 [ k’ ] 꼬리 [k’o.ri], 까불다 [k’a.bul.da]
가운데 [ k’ ] 바깥 [pa.k’at], 임꺽정 [im.k’ək.c’əŋ]
받침 [ k ][1] [bak], 꺾다 [k’ək.t’a]
입천장 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jieut.png 첫소리 [ c ] 조국 [co.guk], 진리 [ciːl.li]
가운데 [ ɟ ] 자주 [ca.ɟu], 친절 [cʰin.ɟəl]
받침 [ t ][1] [nat], 잊다 [it.t’a]
Korean Alphabet chieut.png 첫소리 [ cʰ ] 처음 [cʰə.ɨm], 찾다 [cʰa(t).t’a]
가운데 [ cʰ ] 아차산 [a.cʰa.san], 고추 [ko.cʰu]
받침 [ t ] [nat], 빛나다 [pin.na.da], 꽃잎 [k’on.ɲip]
Korean Alphabet ssangjieut.png 첫소리 [ c’ ] 짜다 [c’a.da], 찔끔 [c’il.k’ɨm]
가운데 [ c’ ] 아찔하다 [a.c’il.ha.da], 짝짝이 [c’ak.c’a.gi]
받침 - -
목구멍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hieut.png 첫소리 [ h ] 하다 [ha.da], 호랑이 [ho.raŋ.i]
가운데 [ h ] 기호 [ki.ho], 사회 [saː.hø / sa.hwe]
받침 [ (t) ][2] 낳다 [naː.tʰa], 닿소리 [ta.s’o.ri]
콧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mieum.png 첫소리 [ m ] 마음 [ma.ɨm], 먹다 [mək.t’a]
가운데 [ m ] 목구멍 [mok.k’u.məŋ], 고물 [ko.mul]
받침 [ m ] 엄청 [əm.cʰəŋ], 한심하다 [han.sim.ha.da]
Korean Alphabet nieun.png 첫소리 [ n ] 나리 [na.ri], 너희 [nə.hi]
가운데 [ n / ɲ ] 사나이 [sa.na.i], 저녁 [cə.ɲək], 어머니 [ə.mə.ni, ə.mə.ɲi], 어금니 [ə.gɨm.ɲi]
받침 [ n ] 가난하다 [ka.nan.ha.da], 돌연히 [tol.ljən.hi]
Korean Alphabet ieung.png 첫소리 0 어제 [ə.ɟe], 오늘 [o.nɨl]
가운데 0 세월 [seː.wəl], 속옷 [soː.got]
받침 [ ŋ ] 성공 [səŋ.goŋ], 사랑 [sa.raŋ]
구르는 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rieul.png 첫소리 [ r ] 러시아 [rə.si.a], 라면 [ra.mjən]
가운데 [ r ] 자랑 [ca.raŋ], 구르다 [ku.rɨ.da]
받침 [ l ] 솔잎 [sol.lip], 절약 [cə.ljak]

  1. 1.0 1.1 1.2 1.3 1.4 1.5 1.6 1.7 1.8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로 날 수 있다.
  2.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로 날 수 있다.

겹받침

  • 한국어 겹받침은 모두 11자 이다. 겹받침은 언제나 홑소리 값을 갖는데, ㄺ, ㄻ, ㄼ, ㄿ을 빼고는 첫째 자음이 겹받침의 소리 값이 된다.
  • 의 소리 값은 언제나 둘째 자음이다.
  • ㄺ, ㄻ, ㄼ은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에 따라서 첫째 또는 둘째 자음이 그 소리 값을 잃게 된다.
  • 겹받침을 가진 두 글자 이상의 모든 낱말은 #연음 법칙, #된소리나기, #거센소리나기에 따라 음운변화를 한다.
겹받침 IPA 보기
Korean Alphabet giyeok-siot.png [ k(s) ] [sak], 삯일 saks.il > [sak.nil]
[nək], 넋두리 nəks.du.ri > [nək.t’u.ri]
Korean Alphabet nieun-jieut.png [ n(c) ] 앉- [an], 앉다 anc.da > [an.t’a]
얹- [ən], 얹다 ənc.da > [ən.t’a]
Korean Alphabet nieun-hieut.png [ n(h) ] 않- an], 않다 anh.da > [an.tʰa], 점잖다 cəːm.ɟanh.da > [cəm.ɟan.tʰa]
Korean Alphabet rieul-giyeok.png [ (l)k ]
[ l(k) ]
[tak], 닭장 talk.ɟaŋ > [tak.c’aŋ]
읽- [il], 읽다 ilk.da > [il.t’a]
Korean Alphabet rieul-mieum.png [ (l)m ]
[ l(m) ]
[saːm], 삶다 saːlm.da > [saːm.t’a]
젊- [cəːm], 젊은이 cəːlm.ɨn.i > [cəːl.mɨɲ.ɲi]
Korean Alphabet rieul-bieup.png [ l(p) ]
[ (l)p ]
넓- nəlp, 넓다 [nəl.t’a]
밟- paːlp, 밟다 [paːp.t’a]
Korean Alphabet rieul-siot.png [ l(s) ] [kol]
Korean Alphabet rieul-tieut.png [ l(tʰ) ] 핥- [hal], 핥다 haltʰ.da > [hal.tʰa], 훑다 hultʰ.da > [hul.tʰa]
Korean Alphabet rieul-pieup.png [ (l)pʰ ] 읊- [ɨp], 읊다 ɨlpʰ.da > [ɨp.t’a], 읊조리다 ɨlpʰ.ɟo.ri.da > [ɨp.c’o.ri.da]
Korean Alphabet rieul-hieut.png [ l(h) ] [ol], 옳다 olh.da > [ol.tʰa]
잃다 ilh.da > [il.tʰa], 싫다 silh.da > [sil.tʰa]
Korean Alphabet bieup-siot.png [ p(s) ] 없- [əp], 없다 əps.da > [əːp.t’a]
[kap], 값어치 kaps.ə.cʰi > [ka.bə.cʰi]

홀소리(모음)

홀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vowel a.png [ a ] 아내 [a.nɛ], 사악 [sa.ak]
Korean Alphabet vowel eo.png [ ə ] 어제 [ə.ɟe], 억지 [ək.c’i]
Korean Alphabet vowel o.png [ o ] 오다 [o.da], 구혼 [ku.hon]
Korean Alphabet vowel u.png [ u ] 우정 [u.ɟəŋ], 물다 [mul.da]
Korean Alphabet vowel eu.png [ ɨ ] 으흠 [ɨ.hɨm], 그윽하다 [kɨ.ɨk.kʰa.da]
Korean Alphabet vowel ae.png [ ɛ ] 애정 [ɛ.ɟəŋ], 여객 [jə.gɛk]
Korean Alphabet vowel yae.png [ jɛ ] [jɛ.nɨn], [kjɛ.ga]
Korean Alphabet vowel wa.png [ wa ] 와장창 [wa.ɟaŋ.cʰaŋ], 수확 [su.hwak]
Korean Alphabet vowel oe.png [ ø , we ] 외아들 [ø.a.dɨl / we.a.dɨl], 괴물 [kweː.mul / køː.mul]
Korean Alphabet vowel wae.png [ wɛ ] 왜그래 [wɛ.gɨ.rɛ] 괘씸하다 [kwɛ.ʃ’im.ha.da]
Korean Alphabet vowel ui.png [ ɨy, ɨ, i ] 의리 [ɨyː.ri / ɨ.ri], 희망 [hi.maŋ]
홀소리 IPA 보기
Korean Alphabet vowel ya.png [ ja ] 야만 [jaː.man], 조약 [co.jak]
Korean Alphabet vowel yeo.png [ jə ] 여자 [jə.ɟa], 자연 [ca.jən]
Korean Alphabet vowel yo.png [ jo ] 요강 [jo.gaŋ], 욕심 [jok.c’im]
Korean Alphabet vowel yu.png [ ju ] 유리 [ju.ri], 정육점 [cəŋ.juk.c’əm]
Korean Alphabet vowel i.png [ i ] 이자 [iː.ɟa], 소식 [so.ʃik]
Korean Alphabet vowel e.png [ e ] 에구 [e.gu], 셋방 [seː.p’aŋ]
Korean Alphabet vowel ye.png [ je ] 예쁘다 [jeː.p’ɨ.da], 옛날 [jeːn.nal]
Korean Alphabet vowel wo.png [ wə ] 워리 [wəː.ri], 서러웠다 [səː.rə.wət.t’a]
Korean Alphabet vowel wi.png [ y , wi ] 위성 [y.səŋ / wi.səŋ], 쉼표 [ʃwiːm.pʰjo / ʃyːm.pʰjo]
Korean Alphabet vowel we.png [ we ] [weːn], 궤짝 [kweː.c’ak]

자모의 다른 IPA 표기

아래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몇몇 한글 자모의 서로 다른 IPA 표기입니다.

자모 한국어 위키낱말사전 다른 한국어 교재
[ ə ] [ ʌ ], [ ɔ ]
[ ɛ ] [ æ ]
[ c / ɟ ] [ č ], [ ʒ ] / [ ʤ ], [ ʨ/dʑ͡ ]

Cloudy01.svg주의:  부호 [ɕ], [ʑ], [ʥ], [ʨ], [tʑ] 는 다른 한국어 교재에서 더러 쓰이곤 합니다. 그러나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는 쓰지 않습니다.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

다음의 보기를 살펴보면 한국어에서 음운 변화가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의 IPA 표기 [mot]에서 끝소리 [-t]가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화된 소리 ('ㅊ, ㅌ, ㅍ' 제외):
ㅅ + ㄱ 가다 moːt ga.da ─> [moːk.k’a.da]
ㅅ + ㄴ 넣다 moːt nət.da ─> [moːn.nə.tʰa]
ㅅ + ㄷ 듣다 moːt tɨt.da ─> [moːt.t’ɨ.t’a]
ㅅ + ㅁ 먹다 moːt mək.da ─> [moːm.mək.t’a]
ㅅ + ㅂ 보다 moːt po.da ─> [moːp.p’o.da]
ㅅ + ㅅ 사다 moːt sa.da ─> [moː(s).s’a.da]
ㅅ + ㅈ 자다 moːt ca.da ─> [moːt.c’a.da]
ㅅ + ㅊ 참다 moːt cʰam.da ─> [moːt.cʰam.da]
ㅅ + ㅌ 타다 moːt tʰa.da ─> [moːt.tʰa.da]
ㅅ + ㅍ 팔다 moːt pʰal.da ─> [moːt.pʰal.da]
ㅅ + ㅎ 못하다 moːt ha.da ─> [moː.tʰa.da]

연음 법칙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앞선 글자가 받침이 있으며 그리고 뒤에 오는 글자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로 넘어가며 발음되는 것을 연음법칙이라 한다. 한글의 IPA는 다음의 연음법칙에 따라 표기해야 한다.

1. 받침 + 모음
손아귀 son.a.gwi ─> [so.na.gwi]
일요일 il.jo.il ─> [i.ljo.il]
2. 받침 + ㅎ
국호 kuk.ho ─> [ku.kʰo]
결합 kjəl.hap ─> [kjə.r(h)ap]
3. 받침 ㄹ + 모음 [i, j] (이, 야, 여, 요, 유, 얘, 예) ─> [l] 중복
솔잎 sol.il ─> [sol.lip]

Cloudy01.svg주의:  한자어의 경우에는 받침 ㄹ + 모음 [i, j] 에서 [l]을 중복하지 않는다.

살인 sal.in ─> [sa.lin]
절약 cəl.jak ─> [cə.ljak]
돌연히 tol.jən.hi ─> [to.ljən.hi]
4. 받침 ㄱ + 모음 ─> [g]
한국어 haːn.guk.ə ─> [haːn.gu.gə]
악인 [ak.in] ─> [a.gin]
5. 받침 ㄷ + 모음 ('이' 제외) ─> [d]
받았다 pat.at.ta ─> [pa.dat.t’a]
6. 받침 ㅂ, ㅍ + 모음 ─> [b]
답안지 tap.an.ɟi ─> [ta.ban.ɟi]
7. 받침 ㅈ, ㅊ + 모음 ─> [ɟ]
맞았다 mat.at.ta ─> [ma.ɟat.t’a]
8. 받침 ㅅ, ㅆ + 모음 ─> [s’/ s]
멋있다 mət.it.ta ─> [mə.sit.t’a]

자음 동화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소리로 나는 것을 자음 동화라고 부른다. 자음 동화는 다음의 경우에 일어난다.

1. ㄴ [n] + ㄹ [r] ─> [l.l]
산림 san.rim ─> [sal.lim]
한라산 haːn.ra.san ─> [haːl.la.san]
2. ㄹ [l] + ㄴ [n]─> [l.l]
실내 ʃil.nɛ ─> [ʃil.lɛ]
가을날 ka.ɨl.nal ─> [ka.ɨl.lal]
3. ㅂ [p] + ㅁ [m] ─> [m.m]
밥먹다 pap.mək.t’a ─> [pam.mək.t’a]
업무 əp.mu ─> [əm.mu]
4. ㄷ / ㅅ / ㅈ / ㅊ / ㅎ [t] + ㄴ [n] ─> [n.n]
받는다 [pat.nɨn.da] ─> [pan.nɨn.da]
낱낱 naːt.nat ─> [naːn.nat]
못나다 moːt.na.da ─> [moːn.na.da]
맺는다 mɛt.nɨn.da ─> [mɛn.nɨn.da]
꽃노래 k’ot.no.rɛ ─> [k’on.no.rɛ]
낳는다 naːt.nɨn.da ─> [naːn.nɨn.da]

된소리나기

된소리나기는 두 글자 이상의 낱말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앞선 글자의 받침:

  • ㄱ, ㅋ, ㄲ ─> [k]
    [kak]
  • ㄷ, ㅌ, ㅅ, ㅈ, ㅊ ─> [t]
    디귿 [ti.gɨt], 티읕 [tʰi.ɨt], [ot], [nat], [k’ot], 히읗 [hi.ɨt]
  • ㅂ, ㅍ ─> [p]
    [pap], [ip]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앞선 받침의 소리 값의 영향을 받아 뒤에 오는 첫 자음이 된 소리로 나는 것을 '된소리나기'라 부른다. 한글의 된소리에는 아래의 다섯 가지가 있으며,

  1. [k’]
  2. [t’]
  3. [p’]
  4. [s’]
  5. [c’]

그리고 된소리나기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 +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2. 합성어에서 첫 의미소의 받침 + 빠진 사이시옷 + 뒤 의미소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이때 1번 2번 가릴 것 없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ㄱ, ㄷ, ㅂ, ㅅ, ㅈ)이 각각
[k’] / [t’] / [p’] / [s’] / [c’]으로 된소리가 난다.

1) [k’]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t] + ㄱ 빠진 사이시옷 + ㄱ
국가 [ku(k).k’a], 받기 [pat.k’i], 덮개 [dəp.k’ɛ], 꽃가루 [k’o(t).k’a.ru] 물 (ㅅ) 고기 [mul.k’o.gi], 문 (ㅅ) 고리 [mun.k’o.ri], 곰 (ㅅ) 국 [koːm.k’uk]

Cloudy01.svg주의:  불고기 [pul.go.gi]에는 사이시옷이 들지 않는다. '살 (ㅎ) 고기'는 [sal.kʰo.gi]로 표기한다. (한글 맞춤법 31항 2)

2) [t’]

[k] / (ㄷ, ㅌ, ㅅ, ㅂ, ㅍ, ㅈ, ㅊ) [t] + ㄷ 빠진 사이시옷 + ㄷ
받다 [pat.t’a], 깎다 [k’ak.t’a], 같다 [kat.t’a], 곱다 [koːp.t’a], 꽃동산 [k’ot.t’oŋ.san] 손 (ㅅ) 등 [son.t’ɨŋ], 갈 (ㅅ) 대 [kal.t’ɛ]

Cloudy01.svg주의:  산 (ㅎ) 돼지 [san.tʰwɛ.ɟi] (한글 맞춤법 31항 2)

3) [p’]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t] + ㅂ 빠진 사이시옷 + ㅂ
돋보기 [tot.p’o.gi], 맛보다 [map.p’oda], 젖비린내 [cət.p’i.rin.nɛ], 앞발 [ap.p’al] 술 (ㅅ) 병 [sul.p’jəŋ], 문 (ㅅ) 법 [mun.p’əp]

4) [s’]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ㅎ) [t] + ㅅ 빠진 사이시옷 + ㅅ
낚시꾼 [nak.ʃʼi.k’un], 앞서다 [ap.s’ə.da], 닿소리 [ta(t).s’o.ri] 집 (ㅅ) 사람 [cʰoːn.c’a.ram], 창 (ㅅ) 살 [cʰaŋ.s’al]

5) [c’]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t] + ㅈ 빠진 사이시옷 + ㅈ
숙제 [suk.c’e], 끝장 [k’ɨt.c’aŋ], 앞장서다 [ap.c’aŋ.sə.da] 염 (ㅅ) 증 [jəm.c’ɨŋ], 벌 (ㅅ) 점 [pəl.c’əm]

거센소리나기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첫 자음 과 부딪치거나 또는 앞선 글자의 받침 이 뒤에 오는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이 두 자음이 한데 어울려 거센 한 소리로 나는 것을 '거센소리나기'라 부른다. 이 때에는 앞선 글자의 받침은 대개 빠진다.

1. 받침 + 뒤따르는 첫 자음 ㅎ
1) ㄱ [k] + ㅎ [h] ─> [kʰ]
직할시 cik.hal.ʃi ─> [ci(k).kʰal.ʃi]
2) ㅂ [p] + ㅎ [h] ─> [pʰ]
밥하다 pap.ha.da ─> [pa(p).pʰa.da]
3) ㄷ / ㅅ / ㅈ [t] + ㅎ [h] ─> [cʰ], [tʰ]
걷히다 kət.hi.da ─> [kə(t).cʰi.da]
못하다 moːt.ha.da ─> [moː(t).tʰa.da]
맞히다 mat.hi.da ─> [ma(t).cʰi.da]
2. 앞선 받침 ㅎ + 뒤따르는 첫 자음 ㄱ, ㄷ, ㅈ
1) ㅎ [t] + ㄱ [g] ─> [kʰ]
넣고서 nəːt.go.sə ─> [nəː(t).kʰo.sə]
2) ㅎ [t] + ㄷ [d] ─> [tʰ]
낳다 naːt.da ─> [naː(t).tʰa]
3) ㅎ [t] + ㅈ [ɟ] ─> [cʰ]
좋지만 coːt.ɟi.man ─> [coː(t).cʰi.man]

콧소리나기

'콧소리나기'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둘로 나누어지며 이는 #자음 동화 현상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 1번-3번: 을 뺀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 자음 (ㄴ, ㅁ)과 부딪칠 때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의 영향을 받아 같이 콧소리가 나거나
  • 4번: 모음으로 끝나거나 혹은 받침을 가진 앞선 낱말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 예로 시작하는 낱말이 올 때 울리는 콧소리(ɲ)가 난다.
1. 받침 ㅂ, ㅍ [p] + ㄴ [n] / ㅁ [m] ─> [m.n , m.ɲ] / [m.m]
입냄새 ip.nɛm.sɛ ─> [im.nɛm.sɛ]
앞니 ap.ni ─> [am.ni / am.ɲi]
밥먹다 pap.mək.t’a ─> [pam.mək.t’a]
2. 받침 ㄷ / ㅌ / ㅅ / ㅈ / ㅊ / ㅎ [t] + ㄴ [n], ㅁ [m] ─> [n.m] / [n.n]
닫는다 tat.nɨn.da ─> [tan.nɨn.da]
겉모양 kət.mo.jaŋ ─> [kən.mo.jaŋ]
송곳니 soŋ.got.ni ─> [soŋ.gon.ni]
젖먹이 cət.mə.gi ─> [cən.mə.gi]
불꽃놀이 pul.c’ot.no.ri ─> [pul.c’on.no.ri]
낳는다 nat.nɨn.da ─> [nan.nɨn.da]
3. 받침 ㄱ / ㄲ / ㄺ [k] + ㄴ [n], ㅁ [m] ─> [ŋ.m] / [ŋ.n]
복날 pok.nal ─> [poŋ.nal]
꺾는다 k’ək.nɨn.da ─> [k’əŋ.nɨn.da]
식물 ʃik.mul ─> [ʃiŋ.mul]
흙먼지 hɨk.mən.ɟi ─> [hɨŋ.mən.ɟi]
4. 모음 / ㄴ + 야, 여, 요, 유, 예 ─> [ɲ]
그냥 kɨ.njaŋ ─> [kɨ.ɲaŋ]
자녀 ca.njə ─> [ca.ɲə]
인용 in.joŋ ─> [in.ɲoŋ]
온유 on.ju ─> [on.ɲu]
문예 mun.je ─> [mu.ɲe]

사이시옷

위의 #된소리나기에서 살펴본 빠진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의 발음 밖에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은 다음의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 1번은 된소리나기에 해당되며 2번은 콧소리나기에 해당된다.

1. 합성어 가운데 앞 낱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바닷가 [pa.da(t).k’a]
옷장 [ot.c’aŋ]
칫솔, [cʰi(t).s’ol]
잿빛 [cɛ(t).p’it]
2. 뒷 낱말의 첫소리 '', ''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
빗물 [pin.mul / pim.mul]
혼잣말 [hon.ɟan.mal]
뒷날 [tøn.nal]

시옷 + 모음

또는 이 모음 '이', '여', '야', '요', '유'에 함께 이루어진 낱말은 [s] ─> [ʃ] / [ʃʼ]로 표기한다. 이때에 1번의 경우는 한국어 본래의 낱말이며, 2번의 경우에는 (주로 영어에서 온) 외래어이다.

1.
시간 [ʃi.gan]
점심 [cəm.ʃim]
교실 [kjoː.ʃil]
씨앗 [ʃʼi.at]
씩씩하다 [ʃʼik.ʃʼi.kʰa.da]
2.
샤워 [ʃa.wə]
로션 [ro.ʃən]
쇼하다 [ʃo.ha.da]
슈팅 [ʃu.tiŋ]

«의»

'' [ɨj]는 사람과 지방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자음을 갖지 않는 첫소리를 빼고는 대개 [i]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1. [ɨj]
의무 [ɨjː.mu]
의심 [ɨj.sim]
의존 [ɨj.ɟon]
2. [i] ([ɨ])
주의 [cu.i]
의의 [ɨjː.i]
합의 [hap.ɨ, hap.i]
흰색 [hin.sɛk]
영희 [jəŋ.hi]
띄어쓰기 [t’i.ə.sɨ.gi]
씌우다 [s’i.u.da]

긴소리

한국어 낱말에서 모음의 긴소리는 언제나 첫 음절에서만 일어난다. 다시 말해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긴소리를 가진 글자가 첫째 음절 다음에 올 때에는 그 긴소리 값을 잃게 된다.

(내리는) [nuːn], 눈사람 [nuːn.s’a.ram]
흰눈 [hin.nun], 싸라기눈 [s’a.ra.gi.nun]
(먹는) [paːm], 밤송이 [paːm.s’o.ŋi]
군밤 [kuːn.bam], 너도밤나무 [nə.do.bam.na.mu]
(앓는) [pjəːŋ], 병신 [pjəːŋ.ʃin]
질병 [cil.bjəŋ], 상사병 [saŋ.sa.p’jəŋ]

참고 문헌

외국어
  • The Korean Language, ed.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Seoul / Oregon 1983.
    • The Theory of Altaic Languages and Korean, Yi Sang-Ok, pp 43-54.
  • Theoretical Issues in Korean liguistics, ed. Young-Key Kim-Renaud, Standford Linguistic Society USA 1994.
    • A Prosodic Analysis of Korean Compounding, Eunjoo Han, pp 61-76.
    • Liquid Representation in Korean, Gregory K. Iveson and Hyang-Sook Sohn, pp 77-100.
  • The Phonetic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Intonational Phonology and Prososdic Structure, Sun-Ah Jun, NY / London 1996. (이 가운데 특히 «list of sentence» 참조).
  • The Korean Language, Ho-Min Sohn, Cambridge 1999. (한국어 음성학을 가장 체계적이며 폭넓게 다룬 연구서)
  • The Korean Language, Iksop Lee and S. Robert Ramsey, NY 2000, pp 13-31, 61-82.
  • Lehrmaterialforschung und -entwicklung für Deutsch als Fremdsprache in Korea, (Diss. Kassel Uni. 2000), Hyang-Ki Min, Frankfurt am Main 2001, pp 63-66.
  • Deutsche Phonologie und Morphologie als Problem für Koreaner, Jong-Moon Yeo, Hamburg 2005.
한국어
  • 한국어 음운론, 황희영, 이우출판사, 서울, 1979, pp 90-124.
  • 국어 음운론, 이승근, 최명옥, 한국방송대학교, 서울 1997, pp 17-26.
  • 계량 국어학 연구, 이상억,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1, pp 111-135. (부록 pp787-813에 수록된 «음성적 이음표기 목록» 참조)
  • 우리말 소리의 체계, 신지영, 차재은, 한국문화사, 서울 2004, pp 43, 62, 69, 73, 79-80. (이 책에는 특히 ɕ, ʑ, ʥ, ʨ 따위의 음성 부호를 쓴다)
  • 한국어의 발음, 배주채, 삼경문화사, 서울 2004, pp 27-95. (이 책에는 특히 tʃ, ʤ 따위의 음성 부호를 쓴다)
  • 국어 음운론, 최명옥, 태학사, 서울 2004, pp 25-6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특히 한국어 음성 부호표)
  • 한국어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서울 1992, p 3.
  • 한국어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개정증보판, 서울 1998, p 1.
  • 한국어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서울 2000, p 19.
  • Korean through English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서울 1993, pp 2-3.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I,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 1997, pp xii-xiv.
  • 한국어 I,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울 1997, pp 1-2.
  • 한국어 I,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서울 1997, pp 5-9.

참 조

변수
행위

'语言 > 中国话资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注音符号  (0) 2010.10.09
注音符号  (0) 2010.10.07
永善 영선이의 영서이 효과.(kyungshangdian)  (0) 2010.10.02
新HSK 600字原稿纸  (0) 2010.10.02
hskkorea&정명숙  (0) 2010.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