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IPA 표기
다음은 한글의 IPA(국제 음성 기호) 표기입니다. 이는 한국 및 영어권에서 출판된 여러 한국어 교재를 두루 참고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에 따라서는 여기에 쓰인 한글 자모의 IPA 표기와 다른 몇몇 표기를 쓰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차이는 어떤 한 IPA 표기가 바르다거나 또는 그릇된 것이라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참여하는 여러분께서는 표기의 통일성을 위하여 여기에 적힌 IPA 표기를 따라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 한국어 낱낱의 글자는 곧 음절을 나타내므로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는 IPA 표기에서 이를 얼른 알아 볼 수 있도록 매 음절 다음에 점을 붙여 씁니다.
- 국립국어연구원 및 다른 위키백과에서 더러 찾아 볼 수 있는 한글과 IPA의 비교 표기는 여기에서는 쓰지 않습니다.
- 아래 보기에 든 낱말 가운데 녹색으로 표시된 낱말의 발음은 #자모의 기본 IPA 표기와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세요.
자모의 기본 IPA 표기
입술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p ] |
방 [paŋ], 보다 [po.da] |
가운데 |
[ b ] |
아버지 [a.bə.ɟi], 넘보다 [nəːm.bo.da] |
받침 |
[ p ][1] |
밥 [pap], 굽다 [kuːp.t’a] |
|
첫소리 |
[ pʰ ] |
파 [pʰa], 펴다 [pʰje.da] |
가운데 |
[ pʰ ] |
슬프다 [sɨl.pʰɨ.da], 태풍 [tʰɛ.pʰuŋ] |
받침 |
[ p ][1] |
잎 [ip], 숲속 [sup.s’ok] |
|
첫소리 |
[ p’ ] |
빵집 [p’aŋ.c’ip], 빨리 [p’al.li], 뽀뽀 [p’o.p’o] |
가운데 |
[ p’ ] |
기쁘다 [ki.p’ɨ.da], 사뿐 [sa.p’un] |
받침 |
- |
- |
이와 잇몸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t ] |
동 [toŋ], 더위 [tə.wi] |
가운데 |
[ d ] |
하다 [ha.da], 구두 [ku.du] |
받침 |
[ t ][1] |
받침 [pa(t).cʰim], 숟가락 [su(t).k’a.rak] |
|
첫소리 |
[ tʰ ] |
타다 [tʰa.da], 터지다 [tʰəː.ɟi.da] |
가운데 |
[ tʰ ] |
농토 [noŋ.tʰo], 배탈 [pɛ.tʰal] |
받침 |
[ t ][1] |
끝 [k’ɨt], 같다 [ka(t).t’a] |
|
첫소리 |
[ t’ ] |
딸기 [t’aːl.gi], 뚜쟁이 [t’u.ɟɛŋ.i] |
가운데 |
[ t’ ] |
가래떡 [ka.rɛ.t’ək], 똑똑하다 [t’ok.t’o.kʰa.da] |
받침 |
- |
- |
|
첫소리 |
[s / ʃ ] |
소리 [so.ri], 사람 [saː.ram], 신라 [ʃil.la] |
가운데 |
[ s ] |
모습 [mo.sɨp], 자식 [ca.ʃik] |
받침 |
[ t / (t) ][1] |
갓 [kat], 낫다 [naːt.t’a], 웃옷 [u.dot] |
|
첫소리 |
[s’ / ʃ’ ] |
싸구려 [s’a.gu.rjə, s’a.gu.rjə], 씀씀이 [s’ɨm.s’ɨ.mi], 씨앗 [ʃ’i.at] |
가운데 |
[ s’ ] |
애쓰다 [ɛː.s’ɨ.da], 불쑥 [pul.s’uk]. |
받침 |
[ t ][1] |
았습니다 [at.s’ɨm.ni.da], 었다 [ət.t’a] |
목 천장 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k ] |
가수 [ka.su], 검정 [kəm.ɟəŋ] |
가운데 |
[ g ] |
고기 [ko.gi], 아가씨 [a.ga.ʃ’i] |
받침 |
[ k ][1] |
백 [pɛk], 수직선 [su.ɟik.s’ən] |
|
첫소리 |
[ kʰ ] |
칸 [kʰan], 큼직하다 [kʰɨm.ɟik.kʰa.da] |
가운데 |
[ kʰ ] |
시큼하다 [ʃi.kʰɨm.ha.da], 물컵 [mul.kʰəp] |
받침 |
[ k ] |
부엌 [pu.ək] |
|
첫소리 |
[ k’ ] |
꼬리 [k’o.ri], 까불다 [k’a.bul.da] |
가운데 |
[ k’ ] |
바깥 [pa.k’at], 임꺽정 [im.k’ək.c’əŋ] |
받침 |
[ k ][1] |
밖 [bak], 꺾다 [k’ək.t’a] |
입천장 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c ] |
조국 [co.guk], 진리 [ciːl.li] |
가운데 |
[ ɟ ] |
자주 [ca.ɟu], 친절 [cʰin.ɟəl] |
받침 |
[ t ][1] |
낮 [nat], 잊다 [it.t’a] |
|
첫소리 |
[ cʰ ] |
처음 [cʰə.ɨm], 찾다 [cʰa(t).t’a] |
가운데 |
[ cʰ ] |
아차산 [a.cʰa.san], 고추 [ko.cʰu] |
받침 |
[ t ] |
낯 [nat], 빛나다 [pin.na.da], 꽃잎 [k’on.ɲip] |
|
첫소리 |
[ c’ ] |
짜다 [c’a.da], 찔끔 [c’il.k’ɨm] |
가운데 |
[ c’ ] |
아찔하다 [a.c’il.ha.da], 짝짝이 [c’ak.c’a.gi] |
받침 |
- |
- |
목구멍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h ] |
하다 [ha.da], 호랑이 [ho.raŋ.i] |
가운데 |
[ h ] |
기호 [ki.ho], 사회 [saː.hø / sa.hwe] |
받침 |
[ (t) ][2] |
낳다 [naː.tʰa], 닿소리 [ta.s’o.ri] |
콧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m ] |
마음 [ma.ɨm], 먹다 [mək.t’a] |
가운데 |
[ m ] |
목구멍 [mok.k’u.məŋ], 고물 [ko.mul] |
받침 |
[ m ] |
엄청 [əm.cʰəŋ], 한심하다 [han.sim.ha.da] |
|
첫소리 |
[ n ] |
나리 [na.ri], 너희 [nə.hi] |
가운데 |
[ n / ɲ ] |
사나이 [sa.na.i], 저녁 [cə.ɲək], 어머니 [ə.mə.ni, ə.mə.ɲi], 어금니 [ə.gɨm.ɲi] |
받침 |
[ n ] |
가난하다 [ka.nan.ha.da], 돌연히 [tol.ljən.hi] |
|
첫소리 |
0 |
어제 [ə.ɟe], 오늘 [o.nɨl] |
가운데 |
0 |
세월 [seː.wəl], 속옷 [soː.got] |
받침 |
[ ŋ ] |
성공 [səŋ.goŋ], 사랑 [sa.raŋ] |
구르는 소리 |
IPA |
보기 |
|
첫소리 |
[ r ] |
러시아 [rə.si.a], 라면 [ra.mjən] |
가운데 |
[ r ] |
자랑 [ca.raŋ], 구르다 [ku.rɨ.da] |
받침 |
[ l ] |
솔잎 [sol.lip], 절약 [cə.ljak] |
주
- ↑ 1.0 1.1 1.2 1.3 1.4 1.5 1.6 1.7 1.8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로 날 수 있다.
- ↑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로 날 수 있다.
겹받침
- 한국어 겹받침은 모두 11자 이다. 겹받침은 언제나 홑소리 값을 갖는데, ㄺ, ㄻ, ㄼ, ㄿ을 빼고는 첫째 자음이 겹받침의 소리 값이 된다.
- ㄿ의 소리 값은 언제나 둘째 자음이다.
- ㄺ, ㄻ, ㄼ은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에 따라서 첫째 또는 둘째 자음이 그 소리 값을 잃게 된다.
- 겹받침을 가진 두 글자 이상의 모든 낱말은 #연음 법칙, #된소리나기, #거센소리나기에 따라 음운변화를 한다.
겹받침 |
IPA |
보기 |
|
[ k(s) ] |
삯 [sak], 삯일 saks.il > [sak.nil] 넋 [nək], 넋두리 nəks.du.ri > [nək.t’u.ri] |
|
[ n(c) ] |
앉- [an], 앉다 anc.da > [an.t’a] 얹- [ən], 얹다 ənc.da > [ən.t’a] |
|
[ n(h) ] |
않- an], 않다 anh.da > [an.tʰa], 점잖다 cəːm.ɟanh.da > [cəm.ɟan.tʰa] |
|
[ (l)k ] [ l(k) ] |
닭 [tak], 닭장 talk.ɟaŋ > [tak.c’aŋ] 읽- [il], 읽다 ilk.da > [il.t’a] |
|
[ (l)m ] [ l(m) ] |
삶 [saːm], 삶다 saːlm.da > [saːm.t’a] 젊- [cəːm], 젊은이 cəːlm.ɨn.i > [cəːl.mɨɲ.ɲi] |
|
[ l(p) ] [ (l)p ] |
넓- nəlp, 넓다 [nəl.t’a] 밟- paːlp, 밟다 [paːp.t’a] |
|
[ l(s) ] |
곬 [kol] |
|
[ l(tʰ) ] |
핥- [hal], 핥다 haltʰ.da > [hal.tʰa], 훑다 hultʰ.da > [hul.tʰa] |
|
[ (l)pʰ ] |
읊- [ɨp], 읊다 ɨlpʰ.da > [ɨp.t’a], 읊조리다 ɨlpʰ.ɟo.ri.da > [ɨp.c’o.ri.da] |
|
[ l(h) ] |
옳 [ol], 옳다 olh.da > [ol.tʰa] 잃다 ilh.da > [il.tʰa], 싫다 silh.da > [sil.tʰa] |
|
[ p(s) ] |
없- [əp], 없다 əps.da > [əːp.t’a] 값 [kap], 값어치 kaps.ə.cʰi > [ka.bə.cʰi] |
홀소리 |
IPA |
보기 |
|
[ a ] |
아내 [a.nɛ], 사악 [sa.ak] |
|
[ ə ] |
어제 [ə.ɟe], 억지 [ək.c’i] |
|
[ o ] |
오다 [o.da], 구혼 [ku.hon] |
|
[ u ] |
우정 [u.ɟəŋ], 물다 [mul.da] |
|
[ ɨ ] |
으흠 [ɨ.hɨm], 그윽하다 [kɨ.ɨk.kʰa.da] |
|
[ ɛ ] |
애정 [ɛ.ɟəŋ], 여객 [jə.gɛk] |
|
[ jɛ ] |
얘는 [jɛ.nɨn], 걔가 [kjɛ.ga] |
|
[ wa ] |
와장창 [wa.ɟaŋ.cʰaŋ], 수확 [su.hwak] |
|
[ ø , we ] |
외아들 [ø.a.dɨl / we.a.dɨl], 괴물 [kweː.mul / køː.mul] |
|
[ wɛ ] |
왜그래 [wɛ.gɨ.rɛ] 괘씸하다 [kwɛ.ʃ’im.ha.da] |
|
[ ɨy, ɨ, i ] |
의리 [ɨyː.ri / ɨ.ri], 희망 [hi.maŋ] | |
홀소리 |
IPA |
보기 |
|
[ ja ] |
야만 [jaː.man], 조약 [co.jak] |
|
[ jə ] |
여자 [jə.ɟa], 자연 [ca.jən] |
|
[ jo ] |
요강 [jo.gaŋ], 욕심 [jok.c’im] |
|
[ ju ] |
유리 [ju.ri], 정육점 [cəŋ.juk.c’əm] |
|
[ i ] |
이자 [iː.ɟa], 소식 [so.ʃik] |
|
[ e ] |
에구 [e.gu], 셋방 [seː.p’aŋ] |
|
[ je ] |
예쁘다 [jeː.p’ɨ.da], 옛날 [jeːn.nal] |
|
[ wə ] |
워리 [wəː.ri], 서러웠다 [səː.rə.wət.t’a] |
|
[ y , wi ] |
위성 [y.səŋ / wi.səŋ], 쉼표 [ʃwiːm.pʰjo / ʃyːm.pʰjo] |
|
[ we ] |
웬 [weːn], 궤짝 [kweː.c’ak] | |
자모의 다른 IPA 표기
아래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몇몇 한글 자모의 서로 다른 IPA 표기입니다.
자모 |
한국어 위키낱말사전 |
다른 한국어 교재 |
ㅓ |
[ ə ] |
[ ʌ ], [ ɔ ] |
ㅐ |
[ ɛ ] |
[ æ ] |
ㅈ |
[ c / ɟ ] |
[ č ], [ ʒ ] / [ ʤ ], [ ʨ/dʑ͡ ] |
주의: 부호 [ɕ], [ʑ], [ʥ], [ʨ], [tʑ] 는 다른 한국어 교재에서 더러 쓰이곤 합니다. 그러나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는 쓰지 않습니다.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
다음의 보기를 살펴보면 한국어에서 음운 변화가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못의 IPA 표기 [mot]에서 끝소리 [-t]가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화된 소리 ('ㅊ, ㅌ, ㅍ' 제외):
ㅅ + ㄱ |
못 가다 |
moːt ga.da |
─> |
[moːk.k’a.da] |
ㅅ + ㄴ |
못 넣다 |
moːt nət.da |
─> |
[moːn.nə.tʰa] |
ㅅ + ㄷ |
못 듣다 |
moːt tɨt.da |
─> |
[moːt.t’ɨ.t’a] |
ㅅ + ㅁ |
못 먹다 |
moːt mək.da |
─> |
[moːm.mək.t’a] |
ㅅ + ㅂ |
못 보다 |
moːt po.da |
─> |
[moːp.p’o.da] |
ㅅ + ㅅ |
못 사다 |
moːt sa.da |
─> |
[moː(s).s’a.da] |
ㅅ + ㅈ |
못 자다 |
moːt ca.da |
─> |
[moːt.c’a.da] |
ㅅ + ㅊ |
못 참다 |
moːt cʰam.da |
─> |
[moːt.cʰam.da] |
ㅅ + ㅌ |
못 타다 |
moːt tʰa.da |
─> |
[moːt.tʰa.da] |
ㅅ + ㅍ |
못 팔다 |
moːt pʰal.da |
─> |
[moːt.pʰal.da] |
ㅅ + ㅎ |
못하다 |
moːt ha.da |
─> |
[moː.tʰa.da] |
연음 법칙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앞선 글자가 받침이 있으며 그리고 뒤에 오는 글자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로 넘어가며 발음되는 것을 연음법칙이라 한다. 한글의 IPA는 다음의 연음법칙에 따라 표기해야 한다.
-
- 1. 받침 + 모음
- 손아귀 son.a.gwi ─> [so.na.gwi]
- 일요일 il.jo.il ─> [i.ljo.il]
-
- 2. 받침 + ㅎ
- 국호 kuk.ho ─> [ku.kʰo]
- 결합 kjəl.hap ─> [kjə.r(h)ap]
-
- 3. 받침 ㄹ + 모음 [i, j] (이, 야, 여, 요, 유, 얘, 예) ─> [l] 중복
- 솔잎 sol.il ─> [sol.lip]
-
주의: 한자어의 경우에는 받침 ㄹ + 모음 [i, j] 에서 [l]을 중복하지 않는다.
- 살인 sal.in ─> [sa.lin]
- 절약 cəl.jak ─> [cə.ljak]
- 돌연히 tol.jən.hi ─> [to.ljən.hi]
-
- 4. 받침 ㄱ + 모음 ─> [g]
- 한국어 haːn.guk.ə ─> [haːn.gu.gə]
- 악인 [ak.in] ─> [a.gin]
-
- 5. 받침 ㄷ + 모음 ('이' 제외) ─> [d]
- 받았다 pat.at.ta ─> [pa.dat.t’a]
-
- 6. 받침 ㅂ, ㅍ + 모음 ─> [b]
- 답안지 tap.an.ɟi ─> [ta.ban.ɟi]
-
- 7. 받침 ㅈ, ㅊ + 모음 ─> [ɟ]
- 맞았다 mat.at.ta ─> [ma.ɟat.t’a]
-
- 8. 받침 ㅅ, ㅆ + 모음 ─> [s’/ s]
- 멋있다 mət.it.ta ─> [mə.sit.t’a]
자음 동화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소리로 나는 것을 자음 동화라고 부른다. 자음 동화는 다음의 경우에 일어난다.
-
- 1. ㄴ [n] + ㄹ [r] ─> [l.l]
- 산림 san.rim ─> [sal.lim]
- 한라산 haːn.ra.san ─> [haːl.la.san]
-
- 2. ㄹ [l] + ㄴ [n]─> [l.l]
- 실내 ʃil.nɛ ─> [ʃil.lɛ]
- 가을날 ka.ɨl.nal ─> [ka.ɨl.lal]
-
- 3. ㅂ [p] + ㅁ [m] ─> [m.m]
- 밥먹다 pap.mək.t’a ─> [pam.mək.t’a]
- 업무 əp.mu ─> [əm.mu]
-
- 4. ㄷ / ㅅ / ㅈ / ㅊ / ㅎ [t] + ㄴ [n] ─> [n.n]
- 받는다 [pat.nɨn.da] ─> [pan.nɨn.da]
- 낱낱 naːt.nat ─> [naːn.nat]
- 못나다 moːt.na.da ─> [moːn.na.da]
- 맺는다 mɛt.nɨn.da ─> [mɛn.nɨn.da]
- 꽃노래 k’ot.no.rɛ ─> [k’on.no.rɛ]
- 낳는다 naːt.nɨn.da ─> [naːn.nɨn.da]
된소리나기
된소리나기는 두 글자 이상의 낱말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앞선 글자의 받침:
- ㄱ, ㅋ, ㄲ ─> [k]
- 각 [kak]
- ㄷ, ㅌ, ㅅ, ㅈ, ㅊ ─> [t]
- 디귿 [ti.gɨt], 티읕 [tʰi.ɨt], 옷 [ot], 낮 [nat], 꽃 [k’ot], 히읗 [hi.ɨt]
- ㅂ, ㅍ ─> [p]
- 밥 [pap], 잎 [ip]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앞선 받침의 소리 값의 영향을 받아 뒤에 오는 첫 자음이 된 소리로 나는 것을 '된소리나기'라 부른다. 한글의 된소리에는 아래의 다섯 가지가 있으며,
- ㄲ [k’]
- ㄸ [t’]
- ㅃ [p’]
- ㅆ [s’]
- ㅉ [c’]
그리고 된소리나기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 +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 합성어에서 첫 의미소의 받침 + 빠진 사이시옷 + 뒤 의미소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 이때 1번 2번 가릴 것 없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ㄱ, ㄷ, ㅂ, ㅅ, ㅈ)이 각각
- [k’] / [t’] / [p’] / [s’] / [c’]으로 된소리가 난다.
1) [k’]
ㄱ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t] + ㄱ |
빠진 사이시옷 + ㄱ |
국가 [ku(k).k’a], 받기 [pat.k’i], 덮개 [dəp.k’ɛ], 꽃가루 [k’o(t).k’a.ru] |
물 (ㅅ) 고기 [mul.k’o.gi], 문 (ㅅ) 고리 [mun.k’o.ri], 곰 (ㅅ) 국 [koːm.k’uk]
주의: 불고기 [pul.go.gi]에는 사이시옷이 들지 않는다. '살 (ㅎ) 고기'는 [sal.kʰo.gi]로 표기한다. (한글 맞춤법 31항 2) |
2) [t’]
ㄱ [k] / (ㄷ, ㅌ, ㅅ, ㅂ, ㅍ, ㅈ, ㅊ) [t] + ㄷ |
빠진 사이시옷 + ㄷ |
받다 [pat.t’a], 깎다 [k’ak.t’a], 같다 [kat.t’a], 곱다 [koːp.t’a], 꽃동산 [k’ot.t’oŋ.san] |
손 (ㅅ) 등 [son.t’ɨŋ], 갈 (ㅅ) 대 [kal.t’ɛ]
주의: 산 (ㅎ) 돼지 [san.tʰwɛ.ɟi] (한글 맞춤법 31항 2) |
3) [p’]
ㄱ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t] + ㅂ |
빠진 사이시옷 + ㅂ |
돋보기 [tot.p’o.gi], 맛보다 [map.p’oda], 젖비린내 [cət.p’i.rin.nɛ], 앞발 [ap.p’al] |
술 (ㅅ) 병 [sul.p’jəŋ], 문 (ㅅ) 법 [mun.p’əp] |
4) [s’]
ㄱ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ㅎ) [t] + ㅅ |
빠진 사이시옷 + ㅅ |
낚시꾼 [nak.ʃʼi.k’un], 앞서다 [ap.s’ə.da], 닿소리 [ta(t).s’o.ri] |
집 (ㅅ) 사람 [cʰoːn.c’a.ram], 창 (ㅅ) 살 [cʰaŋ.s’al] |
5) [c’]
ㄱ [k] / (ㄷ, ㅌ, ㅂ, ㅍ, ㅅ, ㅈ, ㅊ) [t] + ㅈ |
빠진 사이시옷 + ㅈ |
숙제 [suk.c’e], 끝장 [k’ɨt.c’aŋ], 앞장서다 [ap.c’aŋ.sə.da] |
염 (ㅅ) 증 [jəm.c’ɨŋ], 벌 (ㅅ) 점 [pəl.c’əm] |
거센소리나기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첫 자음 ㅎ과 부딪치거나 또는 앞선 글자의 받침 ㅎ이 뒤에 오는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이 두 자음이 한데 어울려 거센 한 소리로 나는 것을 '거센소리나기'라 부른다. 이 때에는 앞선 글자의 받침은 대개 빠진다.
- 1. 받침 + 뒤따르는 첫 자음 ㅎ
-
- 1) ㄱ [k] + ㅎ [h] ─> [kʰ]
- 직할시 cik.hal.ʃi ─> [ci(k).kʰal.ʃi]
-
- 2) ㅂ [p] + ㅎ [h] ─> [pʰ]
- 밥하다 pap.ha.da ─> [pa(p).pʰa.da]
-
- 3) ㄷ / ㅅ / ㅈ [t] + ㅎ [h] ─> [cʰ], [tʰ]
- 걷히다 kət.hi.da ─> [kə(t).cʰi.da]
- 못하다 moːt.ha.da ─> [moː(t).tʰa.da]
- 맞히다 mat.hi.da ─> [ma(t).cʰi.da]
- 2. 앞선 받침 ㅎ + 뒤따르는 첫 자음 ㄱ, ㄷ, ㅈ
-
- 1) ㅎ [t] + ㄱ [g] ─> [kʰ]
- 넣고서 nəːt.go.sə ─> [nəː(t).kʰo.sə]
-
- 2) ㅎ [t] + ㄷ [d] ─> [tʰ]
- 낳다 naːt.da ─> [naː(t).tʰa]
-
- 3) ㅎ [t] + ㅈ [ɟ] ─> [cʰ]
- 좋지만 coːt.ɟi.man ─> [coː(t).cʰi.man]
콧소리나기
'콧소리나기'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둘로 나누어지며 이는 #자음 동화 현상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 1번-3번: ㄹ을 뺀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 자음 (ㄴ, ㅁ)과 부딪칠 때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의 영향을 받아 같이 콧소리가 나거나
- 4번: 모음으로 끝나거나 혹은 ㄴ 받침을 가진 앞선 낱말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 예로 시작하는 낱말이 올 때 울리는 콧소리(ɲ)가 난다.
-
- 1. 받침 ㅂ, ㅍ [p] + ㄴ [n] / ㅁ [m] ─> [m.n , m.ɲ] / [m.m]
- 입냄새 ip.nɛm.sɛ ─> [im.nɛm.sɛ]
- 앞니 ap.ni ─> [am.ni / am.ɲi]
- 밥먹다 pap.mək.t’a ─> [pam.mək.t’a]
-
- 2. 받침 ㄷ / ㅌ / ㅅ / ㅈ / ㅊ / ㅎ [t] + ㄴ [n], ㅁ [m] ─> [n.m] / [n.n]
- 닫는다 tat.nɨn.da ─> [tan.nɨn.da]
- 겉모양 kət.mo.jaŋ ─> [kən.mo.jaŋ]
- 송곳니 soŋ.got.ni ─> [soŋ.gon.ni]
- 젖먹이 cət.mə.gi ─> [cən.mə.gi]
- 불꽃놀이 pul.c’ot.no.ri ─> [pul.c’on.no.ri]
- 낳는다 nat.nɨn.da ─> [nan.nɨn.da]
-
- 3. 받침 ㄱ / ㄲ / ㄺ [k] + ㄴ [n], ㅁ [m] ─> [ŋ.m] / [ŋ.n]
- 복날 pok.nal ─> [poŋ.nal]
- 꺾는다 k’ək.nɨn.da ─> [k’əŋ.nɨn.da]
- 식물 ʃik.mul ─> [ʃiŋ.mul]
- 흙먼지 hɨk.mən.ɟi ─> [hɨŋ.mən.ɟi]
-
- 4. 모음 / ㄴ + 야, 여, 요, 유, 예 ─> [ɲ]
- 그냥 kɨ.njaŋ ─> [kɨ.ɲaŋ]
- 자녀 ca.njə ─> [ca.ɲə]
- 인용 in.joŋ ─> [in.ɲoŋ]
- 온유 on.ju ─> [on.ɲu]
- 문예 mun.je ─> [mu.ɲe]
위의 #된소리나기에서 살펴본 빠진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의 발음 밖에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은 다음의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 1번은 된소리나기에 해당되며 2번은 콧소리나기에 해당된다.
- 1. 합성어 가운데 앞 낱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 바닷가 [pa.da(t).k’a]
- 옷장 [ot.c’aŋ]
- 칫솔, [cʰi(t).s’ol]
- 잿빛 [cɛ(t).p’it]
- 2. 뒷 낱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
- 빗물 [pin.mul / pim.mul]
- 혼잣말 [hon.ɟan.mal]
- 뒷날 [tøn.nal]
시옷 + 모음
ㅅ 또는 ㅆ이 모음 '이', '여', '야', '요', '유'에 함께 이루어진 낱말은 [s] ─> [ʃ] / [ʃʼ]로 표기한다. 이때에 1번의 경우는 한국어 본래의 낱말이며, 2번의 경우에는 (주로 영어에서 온) 외래어이다.
- 1.
- 시간 [ʃi.gan]
- 점심 [cəm.ʃim]
- 교실 [kjoː.ʃil]
- 씨앗 [ʃʼi.at]
- 씩씩하다 [ʃʼik.ʃʼi.kʰa.da]
- 2.
- 샤워 [ʃa.wə]
- 로션 [ro.ʃən]
- 쇼하다 [ʃo.ha.da]
- 슈팅 [ʃu.tiŋ]
«의»
'의' [ɨj]는 사람과 지방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자음을 갖지 않는 첫소리를 빼고는 대개 [i]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 1. [ɨj]
- 의무 [ɨjː.mu]
- 의심 [ɨj.sim]
- 의존 [ɨj.ɟon]
- 2. [i] ([ɨ])
- 주의 [cu.i]
- 의의 [ɨjː.i]
- 합의 [hap.ɨ, hap.i]
- 흰색 [hin.sɛk]
- 영희 [jəŋ.hi]
- 띄어쓰기 [t’i.ə.sɨ.gi]
- 씌우다 [s’i.u.da]
긴소리
한국어 낱말에서 모음의 긴소리는 언제나 첫 음절에서만 일어난다. 다시 말해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긴소리를 가진 글자가 첫째 음절 다음에 올 때에는 그 긴소리 값을 잃게 된다.
-
- (내리는) 눈 [nuːn], 눈사람 [nuːn.s’a.ram]
- 흰눈 [hin.nun], 싸라기눈 [s’a.ra.gi.nun]
- (먹는) 밤 [paːm], 밤송이 [paːm.s’o.ŋi]
- 군밤 [kuːn.bam], 너도밤나무 [nə.do.bam.na.mu]
- (앓는) 병 [pjəːŋ], 병신 [pjəːŋ.ʃin]
- 질병 [cil.bjəŋ], 상사병 [saŋ.sa.p’jəŋ]
참고 문헌
- 외국어
- The Korean Language, ed.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Seoul / Oregon 1983.
- The Theory of Altaic Languages and Korean, Yi Sang-Ok, pp 43-54.
- Theoretical Issues in Korean liguistics, ed. Young-Key Kim-Renaud, Standford Linguistic Society USA 1994.
- A Prosodic Analysis of Korean Compounding, Eunjoo Han, pp 61-76.
- Liquid Representation in Korean, Gregory K. Iveson and Hyang-Sook Sohn, pp 77-100.
- The Phonetic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Intonational Phonology and Prososdic Structure, Sun-Ah Jun, NY / London 1996. (이 가운데 특히 «list of sentence» 참조).
- The Korean Language, Ho-Min Sohn, Cambridge 1999. (한국어 음성학을 가장 체계적이며 폭넓게 다룬 연구서)
- The Korean Language, Iksop Lee and S. Robert Ramsey, NY 2000, pp 13-31, 61-82.
- Lehrmaterialforschung und -entwicklung für Deutsch als Fremdsprache in Korea, (Diss. Kassel Uni. 2000), Hyang-Ki Min, Frankfurt am Main 2001, pp 63-66.
- Deutsche Phonologie und Morphologie als Problem für Koreaner, Jong-Moon Yeo, Hamburg 2005.
- 한국어
- 한국어 음운론, 황희영, 이우출판사, 서울, 1979, pp 90-124.
- 국어 음운론, 이승근, 최명옥, 한국방송대학교, 서울 1997, pp 17-26.
- 계량 국어학 연구, 이상억,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1, pp 111-135. (부록 pp787-813에 수록된 «음성적 이음표기 목록» 참조)
- 우리말 소리의 체계, 신지영, 차재은, 한국문화사, 서울 2004, pp 43, 62, 69, 73, 79-80. (이 책에는 특히 ɕ, ʑ, ʥ, ʨ 따위의 음성 부호를 쓴다)
- 한국어의 발음, 배주채, 삼경문화사, 서울 2004, pp 27-95. (이 책에는 특히 tʃ, ʤ 따위의 음성 부호를 쓴다)
- 국어 음운론, 최명옥, 태학사, 서울 2004, pp 25-67.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특히 한국어 음성 부호표)
- 한국어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서울 1992, p 3.
- 한국어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개정증보판, 서울 1998, p 1.
- 한국어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서울 2000, p 19.
- Korean through English 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서울 1993, pp 2-3.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I,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 1997, pp xii-xiv.
- 한국어 I,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울 1997, pp 1-2.
- 한국어 I,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서울 1997, pp 5-9.
참 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