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동방언의 특색은 지(ji) 치(qi) 시(xi)를 끼 키 히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즉 워 지아(我家)를 워 끼아, 워 샹(我想)을 워 향등등. 오히려 고대중국어 즉, 한국어 발음과 유사하지요. 교주, 즉묵, 래서 사투리중 재미있는 사투리는 까머껄~(等一下), 카셔멀(關門), 러두(耳朵) 등등입니다
|
|
|
|
 |
298 |
 |
관리자(goldparkjy) |
 |
2009-02-02 19:22:05 |
 |
163 |
 |
|
目 次 1. 蒙陰地理人口簡況 2. 蒙陰方言的聲․韻․調 3. 蒙陰方言的古今音比較 3.1 聲母比較 3.2 韻母比較 3.3 聲調比較 4. 小结
【국문제요】 산동성 중남부에 위치한 몽음현은 산동 3대 방언구역의 접경지로, 몽음현 서쪽의 신태현(新泰縣)은 서구(西區)의 서제편(西齊片)에, 평읍현(平邑縣), 비현(費縣)은 서로편 (西魯片)에 속하며, 동쪽의 기원현(沂源縣), 기수현(沂水縣), 기남현(沂南縣)은 동구(東 區)의 동유편(東濰片)에 속한다. 본 논문은 현재 몽음방언의 성모, 운모, 성조의 상황 과 중고음과의 비교를 통해 중고시기 이후 몽음방언의 변화와 특징을 설명하고 표로 정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몽음방언과 중고음의 비교결과는 대부분의 경우 보통화와 중고음의 변화와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몇몇 음에 있어서 몽음방언만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는 것들이 있었으며 이들에 대해 예자를 나열하고 그 특징을 설명 하였다. 주제어 : 중국, 산동방언, 몽음방언, 중고음, 어음비교 中國, 山東方言, 蒙陰方言, 中古音, 語音比較 China, Shan-Dong Dialects, Meng-Yin Dialects, Middle Chinese, Phonology Comparative | |
 |
중국학논총26집-주재진.pdf 1.9Mbyte | |